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폭
가로
고양이
고냉이
괭이
나비넥타이
뉴스
"
나비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뺏을 수 있다. 화려한 청색이 실제로는 청색이 아닌 경우도 있다. 공작새의 깃털이나 모포
나비
날개의 진짜 빛깔은 청색이 아니라 투명하다. 공작새의 깃털에는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지름에 수백 nm 길이의 투명한 단백질이 층층이 쌓여 있는데 여기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난다. 태양빛이 ... ...
양자컴퓨터의 핵심 ‘스핀방향’ 제어 실마리 찾아
2014.12.17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나노 자성체 배열을 특정한 간격으로 했을 때에는
나비
효과로 알려진 혼돈 현상이 지배적으로 작용해 스핀 방향이 무질서하고 예측불가능한 상황이 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이 분야 연구자들은 혼돈 현상과 같은 기본적인 물리 법칙을 간과해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줄어드는 현상이 관찰됐다. 반면 정상 먹이를 먹은
나비
는 수명과 건강상태 모두 일반
나비
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부모세대가 방사능에 많이 오염된 먹이를 먹은 경우 정상 먹이를 먹여도 일부에서 앞날개 크기가 작은 기형이 나타났다. 오타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오염된 정도와 ... ...
이 아인슈타인, 도대체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21
슈퍼스타(☆)! ‘아인슈타인’이다. 두 MC는 이렇게 풀이한다. 아인슈타인은 호랑
나비
다! 그리고 블랙홀이다! 1905년, 혁명적인 논문으로 ‘기적의 해’를 만들기 전, 애벌레와 같았던 그의 흑역사 시절을 들여다보고 블랙홀처럼 빠져드는 그의 인간적 매력만큼 여자 관계도 아주 복잡했다고 ... ...
시각예술+과학기술… 요즘 미술계 대세도 ‘융복합’
동아일보
l
2014.03.18
서울 대학로 아르코미술관의 ‘다이내믹 스트럭처 & 플루이드’전과 서울 종로 아트센터
나비
(SK빌딩 4층)의 ‘버터플라이즈 2014’전은 융·복합을 화두로 내세운 기획전으로 주목된다. ‘다이내믹…’전에선 예술과 과학이론이 만난다. 김경미 뉴미디어아트연구회 대표와 홍성욱 서울대 교수 ... ...
X-선으로 나노세계 손바닥 보듯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이미징 기술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광주 서광중 양주성 교사는 ‘매직
나비
만들기’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21일 오후 6시 30분부터 △서울 △부산 △대전 △대구 등 4개 도시에서도 연다. ‘금요일에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띠고 있어 특정 파장의 빛을 보강간섭하거나 산란시켜 나타나는 색이 구조색이다. 몰포
나비
의 번쩍번쩍하는 파란색이 대표적인 구조색으로 파란색 파장의 보강간섭의 결과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구조색으로는 머리를 감을 때나 설거지를 할 때 일어나는 거품의 막에서 언뜻언뜻 ... ...
시간여행으로 바뀌는 미래 정말 행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사랑의 블랙홀’과 ‘
나비
효과’였다. 사랑의 블랙홀에 가족의 소중함을 더하고, ‘
나비
효과’의 비극을 해피엔딩으로 바꾸면 ‘어바웃 타임’이 태어난다. 이 때문에 어바웃 타임은 연인과 가족, 특히 부자(父子)가 함께 보기 좋은 영화다. ‘열한시’는 결정된 미래 때문에 관객이 느끼는 ... ...
올해 최고의 과학뉴스는 ‘나로호 3차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3.12.11
만든 슈퍼렌즈 기술, 곤충 눈을 닮은 초광각 카메라, 물리학의 오랜 난제 ‘호프스타터의
나비
’를 그래핀으로 구현한 성과 등이 올해의 연구업적으로 인정받았다. 동시에 과학기술계의 주요 이슈로는 원자력 안전 및 비리 문제와 미래창조과학부 출범, 한국 과학기술 발전 모델을 베트남에 ... ...
순간의 물방울도 머물지 않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네 갈래로 쪼개져 튕겨져 날아가고 있다. 표면의 정체는 모르포
나비
의 날개. 모르포
나비
의 날개는 물방울이나 습기가 달라붙지 않는 소수성 성질이 매우 강하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물기가 표면에 묻지 않게 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한 미국 MIT 공대 기계공학과 크리파 바라나시 교수팀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