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성
독자성
특이성
뉴스
"
독특함
"(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비만 치료법 등장…양전하 나노물질로 내장지방 없애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뱃살의 주된 원인인 내장지방을 나노물질로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뱃살'의 주원인인 내장지방을 나노물질로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약물이나 수술이 아닌 새로운 비만 치료법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미국 컬럼비아대 어빙메디컬센터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전설의 버섯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1.26
분홍털땀버섯 - 갓위를 덮고 있는 섬유상 인편들이 빚어낸 오묘한 빛깔이 아름답다. 박상영 작가 제공 “심봤다!” 눈앞에 보이는 아름다운 버섯의 정체는 올해 7월 경기 북부에서 만난 ‘분홍털땀버섯’입니다. 저는 이렇게 야생에 숨겨진 버섯의 아름다운 모습을 사진으로 담고 있는 생태사진작 ... ...
심정지 후 '죽음의 문턱'에서 사람들은 죽음을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미국 뉴욕 그로스만 의대 연구팀은 심장마비 후 심폐소생술을 받고 살아난 환자들로부터 독특한 뇌파 변화가 발생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심장마비를 일으킨 후 심폐소생술(CPR)을 받고 살아난 환자 중 일부는 ‘죽음의 문턱에 있는 경험’을 인지했다는 연구 결과가 ... ...
日 대표 뉴스페이스 기업 "정부 그늘 벗어날 준비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0
나카무라 유야 악셀스페이스 최고경영자(CEO)는 19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열린 ‘아태위성통신협의회(APSCC)’ 컨퍼런스에 발표하고 있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2023년부터 정부 프로젝트에서 벗어난 사업을 시작합니다. 2025년에 매년 50개의 위성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기차 노면 소음·모터소음 동시 차단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소음 차단 음향 메타물질을 개발한 전원주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지완·최은지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왼쪽부터). KAIST 제공 ■KAIST는 전원주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전기차의 저주파 대역 노면 소음과 고주파 대역 모터 소음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신개념 음향 메타패널을 개발했다고 18일 ... ...
2년 전 지구 떠난 화성탐사선...홍수·유기물·오로라 흔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아랍에미리트(UAE) 시민들이 두바이의 무함마드 빈 라시드 우주센터(MBRSC)에서 화성탐사선 '아말'(희망)의 발사 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두바이/연합뉴스 제공 2020년 7월 20일 아랍에미리트(UAE)를 시작으로 23일 중국, 30일 미국이 순서대로 화성 탐사선을 쏘아올렸다. 이 시기는 화성과 지구의 거리가 가 ... ...
[프리미엄 리포트] 태풍 힌남노 능가하는 슈퍼태풍 2~3년마다 올 수도
2022.10.15
힌남노로 많은 비가 내리면서 경북 경주시 문무대왕면 일대 도로가 불어난 하천에 휩쓸려 유실됐다. 연합뉴스 제공 태풍 '힌남노'는 역대급으로 강력했다. 힌남노는 8월 28일 서태평양 중위도 해역에서 태풍으로 발달했다. 이후 서쪽으로 이동하다가 대만을 거쳐 한반도로 북상했다. 9월 6일 오전 경 ... ...
알 두 개 낳아 작은 첫 알 품지도 않고 내치는 펭귄의 선택
연합뉴스
l
2022.10.14
알 두 개 낳아 작은 첫 알 품지도 않고 내치는 펭귄의 선택 멸종위기 '볏왕관펭귄' 기이한 번식 생태 20여년만에 규명 [Lloyd Davis Photography (www.lloyddavis.com), CC-BY 4.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멸종위기에 처한 '볏왕관펭귄'(erect-crested penguin)은 번식기에 ... ...
전기 없이 냉각되는 기판 개발...나비 날개 모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연구개념도. 서울대 제공 나비는 날개를 통해 체온을 조절한다. 날개에서 주입되는 복사에너지 양보다 방출되는 양이 많아 그 차이로 열이 빠져나가며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나비 날개를 모사해 전기 없이도 냉각 성능을 가진 기판을 개발했다. 서울대는 고승환 ... ...
[표지로 읽는 과학] 턱 있는 척추동물 기원, 4억3900만년 전 고대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2.10.01
네이처 제공. 이번주 네이처는 지금은 살고 있지 않을 것 같은 물고기 5종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이빨과 턱(Tooth and Jaw)이라는 제목을 큼지막하게 강조하면서 물고기의 아래턱과 이빨의 모습도 강조했다. 9월 넷째주 네이처는 턱이 있는 척추동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새로운 고대 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