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성
독자성
특이성
뉴스
"
독특함
"(으)로 총 1,249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12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우주카메라가 찍은 사진이 공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5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상상도. NASA 제공. 인류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크고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관측한 풀 컬러 이미지와 분광 데이터가 7월 12일(현지시간) 처음으로 공개된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7월 12일 제임스웹이 지구로 보내온 풀 컬러 관측 이미지와 분 ... ...
선사인류가 불에 구워먹은 알 주인은 멸종 대형조류
연합뉴스
l
2022.05.26
단백질 분석 통해 키 2m '게니오르니스' 알 확인…'인간 탓 멸종' 결정적 증거 [Peter Trusl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호주에서 발견돼 논란을 일으켰던 불에 탄 자국이 있는 알껍데기의 주인이 결국 인간이 멸종시킨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 조류 '게니오르니스'(Genyornis)인 것으로 밝혀졌다. 게니 ... ...
스카이다이버 자세로 나뭇가지 사이서 활공하는 도롱뇽
연합뉴스
l
2022.05.25
美 연구팀 "네 다리 펼쳐 수직낙하 속도 10% 줄이고 수평 활공까지" [Christian Brow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스카이다이버는 팔과 다리를 벌리고 이를 조절해 낙하 속도를 늦추거나 방향을 잡는데, 캘리포니아 삼나무 숲속에 사는 도롱뇽도 급할 땐 이런 고난도 자세로 나무 사이를 건너뛰는 것으로 ... ...
말벌 '윙윙' 소리 흉내 내 포식자 올빼미 피하는 박쥐
연합뉴스
l
2022.05.10
포유류, 곤충 '베이츠 의태' 첫 사례…음향 모방도 드물어 [Marco Scalis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동물 중에는 독성이 없으면서 독성이 있는 것처럼 행동하거나 모양을 꾸며 포식자를 피하는 종이 있다. '베이츠 의태'(擬態)라고 하는데, 박쥐가 포식자인 올빼미를 피하려고 말벌이 윙윙대는 소리를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4)반도체 설비 단열재 만들던 중소기업은 어떻게 우주 사업에 뛰어들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5.04
사진은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지난해 10월 21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는 모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오는 6월 두번째 시험 발사가 예정된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는 발사 직후 3300도에 이르는 뜨거운 불꽃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아오른다. 하지만 누리호의 내부는 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은 왜 향기 분자를 만들까
2022.04.19
음식은 체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아스파라거스를 먹으면 아스파라거스산이 대사되면서 만들어지는 휘발성 황화합물이 소변에 포함돼 특유의 냄새가 난다. ‘네이처 유전학’ 제공 2년 넘게 끌던 코로나19 사태도 끝이 보이는 것 같다. 가을쯤 병원성이 만만치 않은 변이형이 등장하면 원 ... ...
음주측정기처럼 날숨으로 코로나19 검사 세계 첫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4.17
음주측정기처럼 숨을 내뱉는 것만으로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단 3분만에 알 수 있는 장비가 나왔다. 최근 미국에서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검사용으로 긴습사용 승인했으나 해외 전문가들은 실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스펙트IR 시스템스 유튜브 영상 캡처 음주측정기처럼 숨을 내뱉는 것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현대화학의 시조, 반핵 운동가 라이너스 폴링
2022.04.14
서로 다른 두 분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것은 마리와 폴링뿐이다. 특히 노벨상 역사상 단독으로 2번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은 폴링이 유일하다. 위키피디아 제공 20세기 과학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양자역학이다. 양자역학의 확률론적 세계관은 고전역학의 결정론적 세계관을 대체했으며 원자보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학계를 떠나는 과학자들
2022.04.07
얼마전 미국 서부의 연구중심 대학이자 최고의 명문대 중 하나인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리사 귀나이든 교수의 트윗 하나가 많은 연구자들 사이에 회자됐다. 그는 페이스북 창업자인 마크 저커버그가 만든 챈-저커버그 재단이 후원하는 연구자로 지정될 정도로 뛰어난 과학자다. 그러나 ... ...
국내연구진, 학계 논란 종지부 찍고 'RNA 합성' 종결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강창원(왼쪽) KAIST 생명과학과 명예교수와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연구팀은 RNA합성 종결인자 작동원리와 관련해 ‘세 갈래 끝내기’ 이론을 제시했다. KAIST 제공 유전자가 발현되는 첫 단계는 유전정보를 담은 DNA를 참고해 RNA 중합효소가 RNA를 합성하는 일이다. 유전정보가 DNA라는 거푸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