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분과"(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왼손잡이 DNA 존재를 밝힌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 2015.12.29
- 별로 없지만 많이 배웠을 것”이라고 촌평했다. 미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 물리화학분과에 취직한 리치는 1955년 영국 캐번디시연구소로 건너가 DNA이중나선구조를 밝힌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단백질 폴리글리신Ⅱ와 콜라겐의 구조를 규명했다. NIMH로 돌아와서는 RNA 역시 DNA처럼 이중나선구조를 ... ...
- 북태평양 연구프론티어의 플랫폼, PICES2015.12.17
- 의장 - 김구 교수 (포항공대, 2004~2007) - 유신재 책임연구원(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0~2013) * 분과별 과학위원회 의장 - 장경일 교수(POC) (서울대학교, 2010~현재) - 장창익(FIS) (부경대학교, 1996~1999) - 정규귀(TCODE)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2007~2010) 2015년도 PICES 연례총회는 지난 10월 14일~25일 중국 청도에서 ... ...
- “통일전력협력에 관한 감동적 정책설계에 일조할 것”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1.04
- 포괄적인 논의를 할 예정이다. 여기서는 현장스케치 형식으로 간담회를 소개하고, 분과회의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은 향후 별도 지면을 통해 공개할 계획이다. 전력 통일은 불빛 통일, 남북통일에 기여할 수 있어 김호성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야간촬영한 인공위성 ... ...
- ['고리 1호기' 특집(3)] 국민을 위한 결단,’안전’ 넘어 ‘안심’으로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11월 ‘고리 1호기 계속운전 안전성 심사결과(안)’을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정책 및 제도 분과에 제출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수행한 안전성 심사의 내역은 국제원자력기구의 주기적 안전성 평가 기준과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운영허가 갱신 기준을 따랐다. 두 기준을 합친 안전성 ... ...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2015.06.23
- 공동으로 참여한 수송현상(輸送現象)의 완화원리는 미국 화학회의 산업 및 공업화학분과로부터 상패를 받기도 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유학을 간 학생들을 직간접적으로 지도해 양강, 한상준, 김각중, 장세헌 등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도 했다. 1973년 한국과학원의 석좌교수로 ...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2015.02.23
- 선택하겠지만 이 경우 1회분만 받을 때(손실)도 있다. 즉 유인원이 과일을 선택했을 때 1회분과 2회분이 반반의 확률로 주어져 결과적으로 기댓값이 1.5회분이 된다. 역시 반복 실험을 통해 유인원들은 이를 파악했다. 이렇게 훈련이 된 유인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자 첫 번째 프레임에서 59.6 ...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2014.11.24
- ●보기 좋은 의자가 앉기에도 좋다? 그리고 수년이 지난 어느 날, 회사 디자이너였던 분과 점심을 하러 홍대쪽에서 만났다. 이 얘기 저 얘기 하다가 의자로 화제가 넘어갔다. 멋진 의자를 하나 사고 싶다고 필자가 말하자 아는 분이 가구를 만들면서 근처에 박물관도 운영한다는 얘기를 해준다. ...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2014.08.04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에볼라 발생 대책을 논의하는 장면. 가운데가 급성 전염병 분과 책임자인 칼 존슨 박사이고 오른쪽이 조엘 브레먼 박사다. 두 사람은 얼마 뒤 자이르로 가서 사태 파악과 수습에 최선을 다한다. - CDC 제공 붐바에 하루 체류하고 얌부쿠에 도착한 일행은 병원을 폐쇄한 채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동아사이언스 l2013.12.23
- 사실을 발견했다. 다들 면역학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근본적인 발견이다. 1976년 면역학 분과 책임자가 된 아스코나스는 동료들을 이끌며 세포독성T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죽인다는 사실 등 중요한 결과를 잇달아 내놓았다. 아스코나스가 과학자의 삶을 시작할 무렵만 해도 여성 ... ...
- 프레더릭 생어, 생명의 정보를 캐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동아사이언스 l2013.11.25
- B부분의 아미노산 30개 서열과 A부분의 아미노산 21개 서열을 밝혔다(1953년). 그리고 A분과 B부분이 두 곳의 이황화결합으로 연결된 인슐린의 실체를 규명했다(1955년). 그리고 3년 뒤인 1958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노벨상 세 번 받을 뻔? 인슐린의 아미노산 서열을 밝힌 건 단백질 연구의 ... ...
이전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