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분과"(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KOITA l2013.10.18
- 모인 ‘계’가 된다. 계에서 입자들의 행동과 변화를 연구하는 것도 물리학의 한 분과니 교통 흐름도 당연히 물리학의 영역이다. 그리고 물리학의 방법론으로 분석한 도로상황은 고스란히 도로계획에 반영된다. 평일의 한적한 고속도로를 생각해보자. 차들은 자기 나름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 ...
- [연구실 탐방]RDMIS 연구실 고속, 고감도의 방사선 검출을 선도한다KAIST l2013.05.22
- 발전 관련 분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생겼다. 하지만 KAIST의 원자력및양자공학과의 분과에는 지속가능 원자력 에너지 기술 외에 혁신 방사선 과학 기술도 함께 공부하는 곳도 있다. 다소 생소한 이 분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해당 분야 대표 연구실 중 하나인‘ RDMIS 연구실(Radiation Detection and Medical ... ...
- 창조경제 실현위해 ICT 미래상 그린다.동아사이언스 l2013.05.16
- 주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기대감을 표현하였다. 향후, 기획단은 분과별로 매주 회의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모아 7월초에 초안을 마련한 후 세부기획을 거쳐 9월에 최종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 ...
- 미래부, 콘텐츠의 창조경제 핵심산업화 위한 힘찬 걸음 내딛어동아사이언스 l2013.05.02
- 1회 이상 회의를 개최하여 콘텐츠 정책방향을 가다듬는다. 이 포럼은 5월 출범 이후, 각 분과별 회의를 포함하여 올 연말까지 40여회 개최되며, 정책 사안에 따라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는 개방형으로 운영된다. 미래창조과학부 강성주 융합정책관은 과학기술과 콘텐츠의 융합으로 신산업을 ...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9월 6일자에 부고를 쓴 과학저술가 필립 볼은 1989년 당시 ‘네이처’의 물리과학분과 편집자였는데 상온핵융합은 엉터리라는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197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영국 케임브리지대 브라이언 조셉슨 교수는 ‘네이처’ 10월 4일자 서신란에 필립 볼의 부고를 비판하면서 ... ...
- “생명과학 강국 만들기, 전담부처가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12.25
- 고려대 의대 교수, 이영식 한양대 분자생명과학부 교수(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분과위원장), 최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장, 추연성 LG생명과학 이사 등 6명 참석했으며 현병환 정책센터장이 사회를 맡았다. ●중구난방 투자, 획일화된 평가기준 개선돼야 왼쪽부터 김대경 ...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2.04.23
- 전문위원 1999년~2001년 과학기술부장관 정책자문관 2003년 과학기술기본계획 총괄분과위원회 부위원장 2003년~2005년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이사 2004년~2005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기획조정실장 2010년~2011년 기술경영경제학회 회장 2011년 8월~ 제12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동아사이언스 l2011.12.05
- 포함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생명과학 최정점에 있는 계획안인 만큼 IT 정보 분과도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춘근 강원대 교수도 "중복을 피할 수 없다면 각 부처 공동의 로드맵을 만들어 간극을 줄여가라"고 제안했다. 박준기 충북대 교수는 융합을 위해 실제 현장에서 일하는 ...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동아사이언스 l2011.07.05
- -2007년~현재 국제 줄기세포 포럼 한국대표 -2008년~2009년 국제 줄기세포 학회(ISSCR) 정부정책분과 위원 -2010년~2011년 국가 과학기술위원회 재생의료 실무위원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 ...
- “아시아 힘 합치면 세계 생물공학 주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2010.10.19
- 사무총장은 동국대 바이오시스템대학 학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물공학 사회기반기술분과 위원을 겸임하고 있다. 그는 전공인 생물화학 지식을 기반으로 생물공학기술을 미래의 대표 산업으로 발전시킬 방법에 대해 생각을 밝혔다. ● 고급 기술력+풍부한 자원=‘그린’ 생물공학 박 사무총장은 ... ...
이전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