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깔
색상
색채
색깔
컬러
칼라
색조
스페셜
"
색
"(으)로 총 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재배했다고 한다. 지난해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는 흰딸기 품종이 안토시아닌
색
소를 합성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결과임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한참 딸기 얘기를 쓰다 보니 딸기가 듬뿍 올라간 생크림케이크와 진하게 내린 커피 한 잔이 생각난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인공위성으로 본 중국, 초미세먼지 원인 이산화질소에 하얗게 뒤덮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광범위한 지역이 빛을 내뿜고 있어 이산화질소 배출의 심각성을 볼 수 있다. 지도에
색
을 입혀 나타내자 이산화질소의 영향이 더욱 선명해졌다. 데카르트랩 제공 이산화질소를 비롯한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은 태양빛을 만나면 광화학반응을 통해 초미세먼지로 바뀐다. 이산화질소는 무언가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색
소 없이 물방울로만 그린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물방울을 코끼리 모양으로 배치해 염료가 없이도 단지 빛과 물방울만으로 다양한
색
깔로
색
칠한 코끼리를 그려내는 데 성공했다. 물방울로 그려낸 최초의 그림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있다. 즉 비워뒀다는 말이다. IUPAC 제공 그리고 주기율표 아래쪽에 별도로 각각 같은
색
이 칠해진 15개로 이뤄진 원소들이 두 줄로 배치돼 있다. 위가 란타넘족에 속하는 15가지 원소들(바로 희토류다)이고 아래가 악티늄족에 속하는 15가지 원소들이다. 그러나 이 주기율표는 IUPAC의 공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시도할 것이다. 앞의 세 단계를 통과한 청소놀래기는 거울에 비친 모습에서 턱의 갈
색
반점을 보고 아래 있는 돌에 턱을 문질러 반점(기생충)을 떼어내려고 했다. 거울 마크 테스트도 통과한 것이다. 그렇다면 청소놀래기에게 ‘거울 마크 테스트 클럽’의 정회원 자격을 줘야 할까. 흥미롭게도 이 ... ...
중세 유럽 암흑기에도 여성은 예술혼을 불태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펴낸 종교서적에는 당대 예술가들이 그린 삽화들이 채워졌다. 여기에는 금과 은, 푸른
색
을 띠는 청금석과 같은 고급 재료가 쓰였다. 청금석은 아프가니스탄 일대에서 생산돼 유럽으로 수입된 고급 염료다. 역사학자들은 당시 활동하는 예술가들을 대부분 남성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시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진행되려면 히스톤 단백질의 특정부위에 아세틸기가 붙어 염
색
체가 풀려야한다. 염
색
체가 풀리면 비로소 이중나선 형태의 유전물질인 DNA가 모습을 드러낸다. DNA의 염기가 해독돼 우리 몸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을 ‘번역’이라 한다. 번역 과정을 시작하거나 멈추기 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노란
색
)는 소폭 늘어나거나 오히려 줄어드는 반면 네트워크(파란
색
)와 데이터센터(녹
색
)의 수요가 급증함을 알 수 있다. ‘네이처’ 제공 2015년 현재 세계의 ICT 전력소비량은 연간 2000TWh(테라와트시. 테라는 10의 12승)로 전체 소비량 2만 TWh의 10% 수준이지만, 2030년에는 8000TWh가 넘어 전체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색
소 포자의 변화를 사진으로 찍었다. 로랑 교수는 “뇌의 패턴 변화에서 피부
색
의 패턴을 유추하는 기존 방법이나 피부 변화에서 뇌의 변화를 역추적하는 방법 모두 중요하다”며 “이를 상호 보완하면 갑오징어의 위장술에 대해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학명이 Physalis pruinosa다. 그런데 식용꽈리의 열매가 꽤 맛있다고 한다. 인터넷을 검
색
해보니 일본에서 인기를 끌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소개된 것 같다. 그럼에도 역시 열매가 너무 작고 재배 조건도 까다로워 상업 작물로서는 자격미달이다. 보이스톰슨연구소 조이스 반 에크 교수팀 등 미국의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