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깔
색상
색채
색깔
컬러
칼라
색조
스페셜
"
색
"(으)로 총 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
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실험실에서 리티코-보딕 환자의 뇌 슬라이드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는 장면이 나온다.
색
스는 “배율을 높였더니 엄청난 수의 엉킨 신경섬유가 보였는데 파괴된 신경세포 속에서 복잡하게 뒤엉킨 얼룩덜룩한 덩어리가 눈에 거슬리게 두드려져 보였다”고 쓰고 있다. 이어서 뇌염후파킨승증과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로 어휘력과 대화능력이 놀라운 수준이었다. 즉 단순히 사람의 말을 흉내내는 게 아니라
색
과 모양, 숫자 개념까지 터득해 사람과 의미 있는 말을 주고받았다. 인간형 FOXP2가 600만여 년 전(침팬지와 갈라진)에서 50만여 년 전(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과 갈라진) 사이 어느 시점에서 선택됐다는 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
색
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체온을 쉽게 빼앗길 수 있고 따라서 갈
색
지방조직이 잘 발달해 있다. 반면 사람은 갈
색
지방조직이 상대적으로 적어 물 대신 숙신산 음료를 마시더라도 생쥐만큼 효과가 날지는 미지수다. 그럼에도 조만간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될 것이다(어쩌면 이미 실시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유전자 발현 테이터로 특히 고환(testis)에서 여러 유전자가 발현됨을 알 수 있다.
색
이 짙을수록 발현량이 많다. - ‘생리학 리뷰’ 제공 원인불명 남성불임의 원인 가운데 하나 2003년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정자의 꼬리(편모)에 존재하는 후각수용체 가운데 하나인 OR1D2가 정자의 움직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유전자도 2만여 개로 비슷하다. 다만 염
색
체는 16개로 46개인 사람보다 훨씬 적다. 염
색
체 하나가 크다는 말이다. 코알라의 유전자를 자세히 들여다보자 독한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삼을 수 있는 이유가 밝혀졌다. 생체이물(xenobiotic), 즉 개체에게는 낯선 화합물을 해독하는 효소(CYPC2)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탄생에 기여한 월계화 흄스 블러시가 티 로즈에 속한다. 현대장미 대다수는 형태와
색
위주로 품종이 개량된 결과라 대체로 향이 약하지만 잘 맡아보면 홍차가 연상되는 향이 느껴질 것이다. 필자는 2016년 5월 말 과천 서울대공원 장미원을 찾았다. 당시 한 화가가 장미를 화폭에 담고 있는 ... ...
임진강 홍수 위험 대비에 머리 맞대다
과학동아
l
2018.04.28
K-DMSS에 당시 강수량 등 기상정보를 입력하자 홍수 피해가 예측되는 지역이 붉은
색
으로 표시됐다. 실제로 2007년 8월 1~18일 북한 전역에 평균 350mm가 넘는 집중호우가 내리며, 600여 명이 사망·실종되고 100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임진강을 둘러싼 경제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임진강은 수도권 ... ...
미리보는 남북공동회담, 판문점 24시 타임라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는 유엔군사령부가 관할하는 컨테이너 박스 모양의 회담장이다. 유엔 상징
색
을 본따 하늘
색
으로 칠해진 단층 건물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도보로 넘어올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실 T2와 T3 사이의 모습이다. T는 '임시(temporary)'의 약자로 정전 협정 당시 임시로 지어진 데서 유래했다. - 뉴시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생쥐의 꼬리 진피에 타투를 한 뒤 조사한 결과 특정 유형의 대식세포(왼쪽)가 안료(녹
색
)를 머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유형의 대식세포(가운데)나 수지상세포(오른쪽) 내부에는 타투 안료가 없다. - ‘실험의학저널’ 제공 연구자들은 이번 발견이 레이저 시술로 문신을 지울 때 도움이 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그 장면을 그려본다. “흑연 사이로 리튬이온이 들어가면 시커먼 전극(음극)이 황금
색
으로 바뀌면서 빛을 냅니다. 이 광경을 보고 있으면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죠.”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