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
전문대학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college
스페셜
"
칼리지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시작이 두렵다! 어른은 월요병, 아이는 새학기증후군
KISTI
l
2014.03.04
뜻을 가진 ‘먼데이 블루스(Monday blues)’라 한다. 그러나 지난 2004년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보건 역학과에서 월요병의 단서가 될 만한 사실을 찾아냈다. 우리 몸에서 분비되는 여러 호르몬 중에서 코르티솔은 스트레스에 대항할 수 있는 에너지를 만들어준다. 잠에서 깬 직후에 신체를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결국 시력을 잃었다. 그럼에도 애쉬는 꿋꿋하게 일반 학교에 다녔고 1969년 스워스모어
칼리지
철학과를 졸업했다. 명문대를 나왔음에도 취직이 되지 않자 처음으로 장애인 권리 문제에 대해 ‘눈’을 떴다. 1973년 컬럼비아대에서 사회복지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1981년 현대심리치료연구소에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1985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1918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난 칼은 15살에 뉴욕의 시티
칼리지
에 입학했고 19살에 졸업했다. 당시 졸업 동기가 한 살 연상인 하우프트먼이다. 칼은 하버드에서 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미시건대 화학과에서 기체에 전자를 쏘았을 때 나오는 회절패턴을 연구했다.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했는데 거절당했다. 그러다 1970년대 수학영재연구 참여자의 DNA를 갖고 있는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의 행동유전학자 로버트 플로민 교수와 연이 닿았고 마침내 수학영재들의 DNA를 확보하게 된 것. 플린 교수는 지난 2010년 일반 어린이 7900명의 게놈을 분석했지만 지능유전자를 찾는데는 실패한바 있다. ... ...
제올라이트 합성과정에서의 결정변형 원인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7.12
생명과학과 김정호 교수팀, 포항가속기연구소 등 국내 연구진은 물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의 이언 로빈슨(Ian Robinson) 교수팀과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등 해외 연구진이 함께 참여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결정 전체의 변형여부나 화학성분의 분포는 측정할 수 있었지만 ... ...
[채널A] 무서운 주사 대신 뿌리고 붙이는 백신 나와
채널A
l
2013.06.27
안에 퍼집니다. 바늘이 가늘어 통증이 없습니다. [녹취: 린다 클라빈스키스 / 런던대 킹스
칼리지
박사] 2:39 당뇨병 치료를 위해 매일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는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패치형 백신은 냉장 보관이 필요 없어 아프리카 등 의료 인프라가 빈약한 저개발 국가에도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영국 의과학재단인 ‘웰컴 파운데이션’은 약 1억 파운드(약 2000억원)를 투자해 영국 킹스
칼리지
에 국가 연구소를 만들고 있다. 일본 역시 뇌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국립신경과학연구소가 있지만 최근 체제를 개편하고 있다. 뇌 질환에 치중했던 분야에 생물학, 공학, 인지과학 분야를 융합하기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78세로 세상을 떠난 아론 샛킨(Aaron Shatkin)도 그 가운데 한 명이다. 샛킨은 1956년 미국 보든
칼리지
화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록펠러대의 에드워드 테이텀 교수의 실험실에서 대학원 생활을 했다. 테이텀은 195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샛킨은 항생제 액티노마이신 D가 전령RNA의 합성을 방해해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부계가 유태인이었기 때문에 나치를 피해 가족이 영국으로 이주했다.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화학을 공부한 플라이슈만은 뉴캐슬대를 거쳐 1967년 사우스햄튼대에 자리를 잡았다. 1974년 플라이슈만 연구팀은 훗날 표면화학을 연구하는 중요한 도구가 된 표면향상라만분광법(SERS)으로 개발될 현상을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3.25
영국 의과학재단인 ‘웰컴 파운데이션’은 약 1억 파운드(약 2000억원)를 투자해 영국 킹스
칼리지
에 국가 연구소를 만들고 있다. 일본 역시 뇌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국립신경과학연구소가 있지만 최근 체제를 개편하고 있다. 뇌 질환에 치중했던 분야에 생물학, 공학, 인지과학 분야를 융합하기 ... ...
이전
19
20
21
22
2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