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 기후로 지중해 돌고래들 떼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대학의 알렉스 아귈라 교수는, 강우량이 적고 두해 연속
겨울
이 춥지 않아서 돌고래의 먹이가 급격히 줄고 디스템퍼나 허피스 같은 치명적인 균에 대한 저항력이 약화된 것을 한 원인으로 꼽았다.스페인 남동해안에 밀려온 5백 50마리의 죽은 돌고래를 조사해 본 결과,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산성비 보다 산성눈이 환경에 미치는 피해가 더 크다. 그 까닭은 무엇일까?① 추운
겨울
은 식물의 대사가 활발하지 못할 때이므로② 눈이 오랫동안 지표에 남아 녹아 없어지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③ 이산화황 농축효과가 비보다 눈에서 더 크기 때문에④ 눈과 이산화황의 반응이 잘되기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각분야에 진출해 자리를 잡은 사람도 많다. 김씨는 이들이 오며 가며 여름에는 음료수,
겨울
에는 군고구마를 사들고 들를 때가 가장 기쁘다고 한다. 하루빨리 이 일을 이어갈 후계자가 생겼으면 하는게 김씨의 속마음이다. 하지만 선뜻 권할 수 없는 것이 자신이 워낙 고생을 했고 미래가 그렇게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시점에서 42년이 지나면 태양 반대쪽을 향하게 된다. 즉 양극 영역에 가장 뚜렷한 여름과
겨울
이 생기고 그 바뀌는 기간은 42년이다.천왕성의 하루, 즉 자전주기는 이 행성의 자기장과 태양풍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생기는 전파의 변화를 측정해 결정됐다. 적도에서 자전주기는 17.24시간으로 ... ...
뱀 대신 컴퓨터로 지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시 외곽에 사는 농부들이었다. 이들은 우물의 수위(水位)가 바뀌고 뱀들이 예년보다 일찍
겨울
잠에서 깨어나 땅위로 기어오르자 그들의 선조로부터 전해온 경험적 지식으로 지진이 올 것을 알아차렸다.농부들은 학교에 다니는 자녀들이 선생님께 이 사실을 알리도록 했고, 학교측은 다시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농사의 신' 새터누스(Saturnus)의 이름을 따서 새턴(Saturn)으로 불리게 됐다. 그들은
겨울
씨를 뿌릴 때인 매년 12월 17일을 새터날리아(Saturnalia)라 해서 대축제를 열고 향연을 베풀었다.토성을 과학적으로 관측한 사람을 희랍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우스(Ptolemaius)로서 그는 A.D.140년경 당시 지구 주위를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들은 수온이 높으면 장호흡을 자주 하고 몸체를 수면에 자주 노출시킨다.미꾸라지는
겨울
에는 진흙속 10~30㎝ 밑에 들어가 동면을 하다가 여름이 되면 밖으로 나와 활발히 움직인다. 또 너무 더워 수온이 35℃이상이 되면 진흙탕 속에 들어가 더위를 피한다. 그들의 입은 작고 주둥이 끝이 밑으로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가지고 있다.이달의 길잡이별/봄철의 대삼각형낮이 길어지면서
겨울
별들의 길잡이인 '
겨울
철 대삼각형'은 저녁의 황혼 속으로 사라지기 시작한다.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이 이 달의 밤 10시 경 머리 위에 오게 되어 북쪽 별들의 길잡이가 되어 준다. 북두칠성의 손잡이 곡선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통수는 자그마치 1천여통. 사진 한 장을 얻기 위해 영하 10℃가 넘는 야외에서 혹한의
겨울
밤을 꼬박 새워야 하는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1만컷은 천문학적인 숫자다. 핼리혜성으로 지구촌이 들썩거릴 때(85~86년초), 이씨는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핼리의 모습을 찍기 위해 28박29일의 대장정을 ... ...
슈퍼빙산이 조류의 흐름을 알려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 이유는 해양의 밑바닥과 부딪친 결과로 추측되고 있다.지난 해 여름(남극대륙은
겨울
) 세조각으로 쪼개진 B-9는 남극대륙에서 약 8백㎞ 떨어진 곳의 얕은 물에 붙잡히고 말았다.연구원들은 B-9를 그곳까지 옮겨놓은 조류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이 조류가 남극대륙으로의 열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