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것은 아래 네 가지 경우 중 단 두 가지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첫 번째 가로줄이
결정
되면 조건에 맞게 나머지 칸을 채우는 경우가 단 2가지뿐이므로, 모든 경우의 수는 (4!)²×2=1152가 된다.숫자 4는 숫자와 전혀 상관없는 한자의 죽을 사(死) 때문에 피해를 입어왔다. 엘리베이터에도 당당히 ... ...
[시사] 수학으로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각자의 이익를 위해 경쟁하며, 수요와 공급을 움직이기 때문에 가격이 자율적으로
결정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것을‘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표현했다.아담 스미스는 개인들의 경제적 행위가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의 생산력을 발전시킨다고 생각했다. 사는 사람이나 파는 사람이나 자기 이익을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뇌과학과 컴퓨터 연구로 정신 작용을 설명할 수는 없을 것이다.역설적이게도 아주
결정
적인 반론은 컴퓨터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에게서 나온다. 이 주장을 ‘기능주의’라고 부른다. 마음의 기능은 뇌나 컴퓨터의 물리 장치와 구별되므로 물리적 장치에 대한 연구가 정신적 기능에 대한 설명이 될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체스를 둘 때도 규칙에 따라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따져 보고 말을 어떻게 움직일지
결정
한다. 규칙을 컴퓨터 알고리듬으로 만들면 이런 기능을 흉내 낼 수 있다. 미래에 컴퓨터가 더욱 발달하고 정교해지면 사람처럼 의식을 지닐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도 당연했다.영국의 수학자로 컴퓨터과학의 ... ...
성공도 실패도 모두 노력의 흔적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 어떤 과에 가야할지 물었다. 그렇게 기계항공공학과 지원을
결정
했다.노력의 흔적을 보여라대환 군은 서울대 지원 서류를 2학년 겨울 방학 때부터 준비했다. 자기소개서도 전년도 양식을 미리 받아서 써뒀다. 그리고 조금씩 수정하면서 준비했다. 첨부서류는 10개까지 ... ...
세계 유명 미술관 수학으로 미리 가 본다!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어디든 위치 파악해로드뷰와 스토어뷰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기술은 범지구위치
결정
시스템(GPS)이다. 어디서든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GPS는 내비게이션을 비롯해 스마트폰이나 비행기의 자동항법장치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GPS는 미국 국방부가 쏘아 올린 약 24개의 GPS 위성이 보내는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미국과학재단의 큐브샛 프로그램에 지원했고 미국과학재단이 예산을 지원해주기로
결정
하면서 시네마 1기를 추가했다. 이동훈 WCU사업단장(경희대 우주탐사학과 교수)은 “시네마 3기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우주공간을 입체적으로 찍는 만큼 데이터의 정확도가 더욱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천체다. 따라서 결합력이 다른 천체에 비해 대단히 약하다. 혜성의 강도는 푹신푹신한 눈
결정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래서 혜성이 여러 개로 갈라지는 현상이 자주 관측돼 왔다. 1994년 목성에 충돌해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슈메이커-레비9 혜성’은 목성의 중력(엄밀히 이야기하면 조석력)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규명해보기로 했다. 즉 반도체
결정
을 키울 때 실리콘과 게르마늄의 농도비에 따라
결정
이 자라는 속도가 독특한 패턴을 보이는데 그 원인을 몰랐던 것. 이런 저런 수식을 적용하며 3개월간 집요하게 매달린 끝에 마침내 패턴을 설명하는 모델을 만들었다.지도교수인 이홍희 교수에게 결과를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수정란에서 완전한 형태의 개체가 만들어지는 신비로운 과정을 규명하는 데 개구리가
결정
적인 기여를 했으니까요.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쥐도 발생학을 연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어미 쥐의 자궁속에서 일어나는 일이니까요. 닭은 알에서 발생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연구하기가 훨씬 낫지만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