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일한 푸른행성 지구의 생명체 지켜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빠지도록 지구가 형성됐거나, 원시 대기를 구성 하던 기체들이 지구가 형성된 뒤
곧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대부분 믿어지고 있다.오늘날 우리가 갖고 있는 대기는 화산활동과 같은 지구 내부에서부터의 가스방출에서 기인된 것이다. 현재의 대기는 약 78%의 질소와 20%의 산소로 돼 있다. 반면에 ... ...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오차 1㎝ 이하의 정확성을 유지하며 궤도비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계기의 고장은
곧
우주정거장이 궤도에서 이탈하는 것을 의미 한다. 다시 말해 우주정거장이 정거장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는 것을 뜻한다.이럴 경우 우주정거장은 지구 대기권으로 추락하거나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서 떠돌아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장'으로 가기 위한 우주정거장에서는 우주선이 발사되는 장면 등이 영상으로 펼쳐 지고,
곧
이어 타게 될 우주선의 탑승안내가 이루어진다. 탐험의 장에서는 60명씩 탑승하는 우주선이 대기하고 있다. 우주선은 일종의 모션베이스(자체에서 전후 좌우 상하운동을 하지만 탑승객은 마치 매우 빠른 ... ...
스펙트럼으로 본 악기의 소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가졌을 때 순음(Pure tone)이라고 부르는데, 피리소리나 소리굽쇠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곧
순음이다. 여러 개의 주파수를 포함한 소리를 복합음(Complex tone)이라고 부른다. 모든 악기에서 발생하는 소리, 목소리 등 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복합음이다.악기에서 발생하는 소리 가운데 가장 작은 ... ...
바이오스피어Ⅱ 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아이러니컬하게도 이 굶주림은 생물권 Ⅱ로부터 최초의 과학논문 한편을 발표하게 했다.
곧
로이 왈포드박사가 저칼로리 저지방 음식들이 콜레스테롤 혈압 혈당과 몸무게를 감소시킨다고 보고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권Ⅱ 안에 있는 실험실 동물에서 나타났는데 스파르타식의 다이어트가 ... ...
2000 해양 목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인공목장을 설치하고 육상에서 가축을 기르듯이 해양생물을 재배하는 시대가
곧
온다.해양목장이란 오래 전부터 있어온 수산양식 증식에 최근 새롭게 등장한 재배어업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유용한 수산생물을 육상의 가축과 같이 관리해 인위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다. 해양목장은 2000년경에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있다. 그래야 중앙컴퓨터가 그 차량의 위치를 파악해 놓고 있다가 밀렵이 이뤄지는 순간
곧
바로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전자송수신장치는 또 코뿔소의 뿔 주변에 설치되기도 한다. 이 경우 뿔이 잘리는 순간 경고음이 울리게 되므로 즉시 밀렵방지부대가 출동하면 밀렵꾼들을 붙잡을 수 있다 ... ...
박쥐, '해로운 동물' 오해로 멸종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야행성 해충을 잡아먹는 이로운 동물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박쥐가 줄어드는 것은
곧
밤에 나돌아다니는 해충의 박멸이 훨씬 어려워짐을 뜻한다. 예를 들어 전세계적인 박쥐집단거주지인 미국텍사스주의 고사리동굴(Bracken cave)에서 사는 4천만마리의 멕시코똥박쥐들은 매일 밤 2백50t의 벌레를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눈을 떴다."새에 애착을 갖다 보니 새의 먹이사슬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고, 새의 먹이는
곧
자연생태계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깨달아 자연히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그는 지금까지 새와 함께 생활해 오면서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3백80종의 새 가운데 약 2백종을 봤다. 그동안 제일 ... ...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진단과정은 일반인이 생각하는 것처럼 단순하지 않다. 어떤 증상이 있으면 이것이
곧
어떤 병이고 따라서 어떻게 치료하면 된다는 식의 의료공식은 결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어떤 질병에 걸리면 반드시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또 어떤 증상이 한가지 병이 있을 때만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