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질"(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 얼음 호수 속에서 기체가 방울방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공기 방울의 계절이 왔어요! 오래 머물지 않으니 날씨가 따뜻해지기 전에 어서 보러 오세요!”지난 1월 13일, 캐나다인 사진작가 칼럼 스네이프는 트위터에 하얀색 땡땡이 무늬가 ... 방출되는 것을 염려했답니다.* 유기물 :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 주로 생물체를 이루는 물질을 뜻한다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비행을 앞두고 어떤 생리학적 변화를 보이는지 관찰한 결과, 근육에 산소를 저장하는 물질인 미오글로빈의 수치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수치가 높으면 산소가 희박한 데서 격한 운동을 하면서도 견딜 수 있다. 또 다른 철새인 흰뺨기러기(Branta leucopsis)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2500km에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때 충동적이고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는 이유를 찾기 위해 환자와 그 친척의 신경전달물질과 관련 유전자를 조사했어. 그 결과, 세로토닌 2B 수용체 돌연변이가 있으면 술을 마셨을 때 자기 통제가 잘 되지 않는다는 게 밝혀졌대(학술지 ‘중개정신의학’ 2015년 11월 17일자). 이 수용체는 지나친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많기 때문에 핵 폐기장 부지를 마련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에 안 교수는 “일일 방사성 물질 배출량을 따지면 화력발전소 보다 낮고, 심지어 비행기를 타고 갈 때 태양으로부터 받는 방사선 양이 더 많다”며 “핵폐기물 저장시설은 안전하다”고 말했다.안 교수는 “그보다 국토가 좁아 핵폐기물을 ... ...
- 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많이 비슷할수록 ‘유사도가 높다’라고 한답니다.유사도가 높다는 것은 유전자가 어떤 물질에 대해 비슷한 반응을 보일 확률이 높다는 것을 뜻해요. 따라서 유사도가 높은 동물로 실험할수록 사람이 같은 제품을 썼을 때 나타나는 증상을 최대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지요.동물들 중에서 유사도가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됐느냐고 물었다.“원래 나노튜브를 연구했는데, 이의 연장선상으로 그래핀이라는 평면 물질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을 단 한 장의 평면으로 분리할 수 있을 것인가가 관건이었죠. 몇몇 그룹이 그 연구를 했는데, 당시엔 그 사람들이 있는 줄도 잘 몰랐습니다.”_김필립 하버드대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법부터 배운다. 증거물은 핀셋으로 잡아 밀폐용기에 넣는데, 이때 주변의 물 시료와 바닥물질을 함께 수집한다.수중촬영기술도 배운다. 사건현장에서 다이버 한 명은 계속 촬영만 한다. 감식과정 전체를 기록해야 법정에서 증거 능력을 인정받기 때문이다. 변사체를 발견하면 손을 대지 않고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것 아닌가 하는 걱정은 안하셔도 되요. 중화라는 방법으로 산을 없애거든요. 한때 발암물질 논란도 있었지만 잔류 기준이 엄격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산분해간장에 양조간장을 조금만 섞어도 혼합간장이라고 부를 수 있게 한 건 혼란을 줄 것 같습니다. 산분해간장을 먹고 싶지 않은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런 그래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흑연을 원자 한 층 두께로 얇게 벗겨내야 합니다. 오염물질을 차단 해야 하는 것은 물론, 진동과 자기장, 소음 간섭도 막아야 합니다. 이렇게 해서 그래핀을 제작할 수 있는 공간을 ‘클린룸’이라고 하는데, 연구소에는 클린룸이 지하 1층부터 지상2층까지 1500m2나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었다. 분석 결과도 명확하지 않았다.김 교수는 박사과정생이던 2004년에 이런 저온보호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2000기압의 고압에서 손상 없이 단백질을 냉각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당시 김 교수는 높은 압력에서 단백질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던 중이었다. 그런데 실험 도중 우연히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