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공포와 공격성 나타내는 신경회로 찾았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느끼거나 공격적인 행동에 관여하는 신경회로가 발견됐다. 앤드류 후버만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신경생물학과 교수팀은 75L짜리 용기에 쥐를 가두고, 맹금류가 무섭게 달려드는 영상을 보여주면서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했다. 일반적으로 위협적인 상황에서 뇌는 ... ...
- [Issue] 라돈 침대 왜 위험한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차지문제가 되고 있는 라돈(Rn)은 우라늄(U), 토륨(Th), 라듐(Ra), 폴로늄(Po)에 이어 5번째로 발견된 방사성 원소다. 방사성 원소는 방사능을 가진 원소로, 원자핵이 알파(α)선, 베타(β)선, 감마(γ)선 등 방사선을 방출하고 붕괴하면서 안정한 상태가 된다. 라돈이 위험한 이유는 붕괴하면서 발생하는 또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과정에서 새로운 원소의 발견도 가능하다. 한국(KOREA)의 이름을 딴 ‘코리아늄’이 발견 될 수도 있다. 강 팀장은 “라온 완공 이후 일차적으로 이들 세 가지 실험장치가 먼저 들어설 예정”이라며 “이들은 각각 저에너지 핵과학, 고에너지 핵과학, 응용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가 가능한 ... ...
- [과학뉴스] NASA에서 1억 년 전 발자국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0개의 발자국이 포착됐지요.암석을 발견한 공룡발자국 전문가 레이 스탠포드는 “이번에 발견한 발자국은 포유류와 공룡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봤지요. 두뇌의 구성 성분을 조사한 결과, 뇌 손상의 신호로 여겨지는 타우 단백질을 발견했어요. 사람은 뇌에 타우 단백질이 쌓이면 신경이 마비되지요. 일리: 그럼 머리에 손상이 일어난 거야? 딱따구리: 연구를 이끈 피터 커밍스 교수는 “딱따구리는 타우 단백질이 쌓여도 신경이 마비되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작은 막대’라는 뜻의 그리스어 ‘bakteria’에서 유래되었어요. 처음 현미경을 통해 발견된 박테리아가 막대 모양이었기 때문이랍니다. 촉매는 ‘닿다’는 뜻의 ‘촉(觸)’과 ‘중매하다’를 의미하는 ‘매(媒)’가 합쳐진 한자어예요.이중 ‘닿을 촉(觸)’은 ‘뿔 각(角)’과 나비의 애벌레를 ... ...
- [별난이름정리] 맥너겟 수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수가 탄생했습니다. 수학교육자 앙리 피치오토가 아들과 맥도날드에서 저녁을 먹던 중에 발견했지요. 당시 영국 맥도날드에서는 맥너겟을 6개, 9개, 20개씩만 팔고 있었습니다. 이때 피치오토는 맥너겟 수를 떠올려 매장에 있던 냅킨에 바로 계산했고, 이 결과를 그가 쓴 대수학 책에 소개했습니다. 6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원장은 거대 소수 찾기 프로젝트를 한 예로 들었다. 소수를 찾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아직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소수를 찾는 프로젝트로, 수학과 SW의 융합이다. 김 원장은 “미래에는 수학으로 풀어낸 식을 컴퓨터 코드로 바꾸는 능력이 중요해질 것”이라며, “수학적 논리는 프로그래밍을 하는 데 ...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병은 면으로 둘러싸인 곡면으로, 4차원에 살아요. 1882년 독일 수학자 펠릭스 클라인이 발견했어요. 뫼비우스 띠가 원통형 띠를 꼰 거라면 클라인 병은 도넛 모양의 원환면을 비튼 거예요. 그런데 위상수학자는 3차원의 뫼비우스 띠와 4차원의 클라인 병을 모두 ‘2차원 다양체’라고 불러요. 어느 ... ...
- [과학뉴스] 마그마 흔적 따라 철광석 광산 찾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12일자에 발표했다. 철광석은 대부분 퇴적암층에서 발견되지만, 칠레의 엘 라코나, 스웨덴의 키루나 등 화산암 지대에서도 채굴된다. 이런 지대를 ‘키루나형 매립지’라고 하며, 전 세계 매장량의 약 10%가 여기서 나온다. 하지만 현재까지 키루나형 매립지가 어떻게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