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난이름정리] 맥너겟 수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수가 탄생했습니다. 수학교육자 앙리 피치오토가 아들과 맥도날드에서 저녁을 먹던 중에 발견했지요. 당시 영국 맥도날드에서는 맥너겟을 6개, 9개, 20개씩만 팔고 있었습니다. 이때 피치오토는 맥너겟 수를 떠올려 매장에 있던 냅킨에 바로 계산했고, 이 결과를 그가 쓴 대수학 책에 소개했습니다. 6 ... ...
- 제20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의미 있는 결론을 낸다. 자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및 새롭게 발견한 사실이나 시사점을 포스터에 밝혀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자. 도전! 통계활용대회의 주인공 우수작으로 선정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학교에서 배우지 않는 회귀 분석이나 고급 통계 분석법을 활용하면 되지 ... ...
- [과학뉴스] 마그마 흔적 따라 철광석 광산 찾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12일자에 발표했다. 철광석은 대부분 퇴적암층에서 발견되지만, 칠레의 엘 라코나, 스웨덴의 키루나 등 화산암 지대에서도 채굴된다. 이런 지대를 ‘키루나형 매립지’라고 하며, 전 세계 매장량의 약 10%가 여기서 나온다. 하지만 현재까지 키루나형 매립지가 어떻게 ... ...
- [과학뉴스] ‘액체 금속’ 생성 과정 첫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데 걸리는 시간이 동일한 액체 내에서도 위치에 따라 최대 10배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보일즈 교수는 “액체가 고체로 변할 때 모든 부분에서 균일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기존의 ㅜ통념을 뒤집는 연구 결과”라며 “금속 유리를 활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38/s41467-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바깥으로 걷던 보행자가 갑자기 도로로 뛰어 들면서 직진하던 차량이 보행자를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차량은 ‘볼보 XC90’으로, 우버의 센서를 장착하고 자율주행모드로 운행되고 있었다. 자율주행자동차에 의한 첫 번째 보행자 인명 사고였다. 테슬라 모델 X는 미국 ... ...
- [과학뉴스] 꿀벌로 코끼리를 쫓아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설치해 꿀벌이 모여들게 했어요. 그 결과, 84마리의 코끼리가 마을로 진입하려다 벌을 발견하고 도망가는 모습이 포착됐지요. 또 스리랑카의 28개 마을에서는 녹음된 꿀벌 소리가 나오는 스피커를 마을 주변에 설치해 봤어요. 그 결과, 꿀벌 소리를 들은 120마리의 코끼리들은 코를 동료의 몸에 갖다 ... ...
- [과학뉴스]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다른 종류의 남세균이 만들어내는 독소다. 특히 BMAA는 그간 열대와 온대 표본에서만 발견된 독소다. 융블루트 박사는 “인간의 발길이 닿기 전 남극의 생태가 지금과 달랐음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현재 표본과 비교분석하면 최근 100여 년간 남극 대륙이 기후변화로 얼마나 달라졌는지 추정하는 ... ...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신경세포 사멸의 부산물이 아니라, 치매를 발병시킬 수 있는 능동적 과정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알츠하이머 환자 24명을 분석해 베타아밀로이드의 양이 늘어나면 타우 단백질도 늘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베이트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앞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 ...
- [과학뉴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실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958년 영국의 제약회사인 맥팔렌 스미스가 국소마취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데나토늄 벤조에이트의 농도가 0.05ppm(1kg에 0.05mg 들어있는 수준)만 돼도 쓴맛을 감지했다. 사람이 보유한 쓴맛 수용체 25개 가운데 8개(TAS2R4, TAS2R8, TAS2R10, TAS2R16, TAS2R39, TAS2R43, TAS2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KMTNet은 2016년 지구에서 각각 2000광년, 2만7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목성형 행성을 연달아 발견했으며, 2017년에는 NASA의 ‘스피처 우주망원경’과 함께 지구 질량의 1.43배 정도인 외계행성을 찾은 바 있다. 이충욱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은 “국경을 막론하고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