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2,942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11
부트스트랩(boot strap, 신발끈)에서 나왔는데 이는 '신발끈을 단단이 매고 일하러 나갈
채
비를 갖춘다'는 것을 연상하게 한다. 부팅을 하기 위해서는 부팅을 할 수 있도록 준비가 된 도스 디스켓이 필요하다.도스디스켓을 컴퓨터에 넣고 전원을 켜야 하는데 요즘은 대부분 하드디스크를 내장하므로 이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11
시도하려고 한다. '서당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고 했다. 식물 이름 하나 제대로 모른
채
시작한 아마추어라도 풍월을 세번이나 읊을 수 있는 기간을 풀과 나무만을 좇으면서 전국을 누볐는데, 이제는 어디가서 풍월이 아니라 제대로된 시조를 읊조릴 수 있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제2출발'을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11
존재하는 것으로, 흔히 아담의 유전정보가 이 염색체 속에 있다고들 한다. 그래서 염색
채
Y내의 유전정보를 알아냄으로써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를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고, 인류와 생물의 진화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이번에 작성된 유전지도는 마치 도서관의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10
우주의 나이는 이전에 비해 두배로 커졌다. 곧이어 지구의 나이는 45억년으로 고정된
채
우주의 나이는 적어도 1백억년 이상으로 커졌다.그러나 그때까지도 많은 수의 과학자들-특히 영국의 과학자들-은 간단한 정상우주론을 고수하고 있었다. 그들은 여러가지 관측증거들을 설명하기 위해 시간을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10
우리 태양만 해도 헬륨반응을 가질 수 없다. 즉 우리 태양은 (그림3)과 같은 구조를 가진
채
진화를 마치게 된다.별의 진화가 계속됨에 따라 중심부는 수축하게 되고 그에 따른 에너지의 생성이 급증하여 별은 팽창한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별은 진화의 막바지에 이르러 적색거성이 된다고 믿어진다. ... ...
(2) 새로운 시도 착실한 기능향상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10
해결을 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에디터의 표준사양이라 불리는 볼랜드계열의 핫키방식을
채
택하고 있고, 선그리기 기능이나 하늘소 이영상씨의 도움을 받아 만든 그림문자를 삽입할 수 있는 기능, 워드프로세서에서 주어지는 기능인 선 보호기능과 문단설정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어 일반적인 ...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09
발사되었다.최초의 우주정거장 살류트는 1971년 4월에 발사됐다.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채
우주 궤도로 진입하여 후에 소유즈 10호와 결합해 무게 26t, 총길이 23m의 우주정거장을 형성 했다. 이와 병행하여 코스모스 비행체가 개발되어 살류트 7 우주정거장에 소유즈와 함께 결합돼 더 큰 우주정거장을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09
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 소리를 듣자 우둔한 티폰은 겁을 먹고 제우스를 놓아 둔
채
달아나 버렸다.판의 재치있는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 제우스는 그에 대한 보답으로 하늘의 별들 속에 반양반어인 바다염소의 별자리를 만들어 그의 도움을 영원히 기억되게 하였다. 이런 이유로 그리스인들은 이 ... ...
동굴인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209
했다. 그러나 그 공기 속에는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들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많은 사람들이 폐암에 걸려 죽어 갔다.실내 공기오염 인식부족동굴인류에게 폐암이나 기타 폐질환이 많았을 것이라는 추측에는 믿을 만한 증거가 있다. 뉴기니의 원주민 중에는 아직도 폐쇄된 오두막에서 불을 ... ...
환태평양 인공지능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김진형
과학동아
l
199209
몰려들 것으로 예상된다.이 대회의 조직위원장을 맡아 복(伏)더위에도 피서조차 못간
채
대회준비에 여념이 없는 김진형교수(43,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를 만났다. 1백70여편 논문발표"전세계 인공지능 연구는 미국권 유럽권 동북아권 등 지역별로 3개의 권역으로 나눌 수 있어요. 아직은 미국세가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