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근접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2010년 그래핀이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을 때, 이
분야
에서 세계 3위 안에 든다고 평가 받는 김필립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위 사진)가 수상에서 제외된 사실이 국제적으로 큰 관심을 모았다. 그런데 안타깝다는 의견 사이로 “드디어 노벨상과 관련해 논란이라도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막상 해보니 어렵지 않더라고요. 소질이 있는 것 같아 아예 전공을 바꿨죠. 하하.” 이
분야
에서 잘 나가다가 또 답답함을 느껴 도전한 것이 ‘대박을 낸’ 제올라이트로 메조다공성 물질을 만드는 연구였다. 유 교수는 “죽어가던 나를 구사일생으로 구한 연구”라고 말했다. “앞으로 10년 동안 ... ...
[과학뉴스] 중력으로 그린 바닷속 지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지금까지 발표된 지도 중 가장 크고 정확한 바다 지도가 탄생했다.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데이비드 샌드웰 교수팀은 중력을 이용한 새로운 바닷속 지 ... 찾았다. 샌드웰 박사는 “새 지도는 지질학 연구는 물론, 군사, 자원채취 등의 실용적인
분야
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로켓이 필요하다. 로켓은 미국과 러시아가 가장 앞서 있는
분야
다. 하지만 인도 역시 실력이 만만치 않다. 인도는 1980년 자체 개발한 로켓으로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한 후 1990년대 초 PSLV(Polar Satellite Launch Vehicle)라는 로켓을 개발하면서 독자적인 기술을 갖게 됐다. 이전까지는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가 KAIST에 입학한 이유다. 겜메츄 씨는 뇌과학이나 의과학처럼 공학과 의학을 융합한
분야
로 진출해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게 꿈이다.아프리카로 입학설명회 떠난 KAIST최근 아프리카의 과학영재들이 KAIST에 지원하는 비율이 크게 늘었다. 올해 가을학기에만 아프리카에서 학사과정 5명, 석·박사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테마과학관이지만, 개관 당시부터 천문·우주·해양·생활과학·스포츠과학 등 다양한
분야
의 전시물을 충실하게 갖춘 이유다. 천체투영관·4D관·어린이관·기획전시관 등에서 총 36개 주제로 전시물 151점을 운영해 왔다.특히 관람객들이 직접 보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체험형 전시물 비율이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wavelet)
분야
의 전문가다. 웨이블릿은 디지털 신호 처리나 이미지 압축에 사용되는
분야
다. 간단히 말해 그림을 행렬로 변환한 다음, 각 조각에 0부터 255바이트까지 고유한 숫자 정보를 부여한다. 그림을 잘게 나눠 수로 나타낸다는 뜻이다. 그런 다음 이것을 웨이블릿 변환 수학모델로 분석한다.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과학, 공학의 만남은 운명일지도 모른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현재 오리가미 기술은
분야
의 경계 없이 각각의 대상을 최소 부피로 줄여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 모든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단순한 교육용 재료나 장난감이 아니라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처럼 자리매김하고 있다. 종이 한 장으로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발견은 뇌가 전기신호를 이용해 어떻게 정보를 처리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
분야
를 열었다. 현재는 컴퓨터와 수학을 이용해 뇌의 인지능력과 위치 정보처리 과정을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임상에서는 치매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알츠하이머 환자의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등장한다. 영국 브리스톨대 컴퓨터과학과 틸로 버거트 교수는 동물개체식별
분야
의 선구자다. 그는 아프리카 펭귄이 자꾸 줄어들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각 펭귄을 자동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찾기로 결심했다. 버거트 교수는 펭귄 배에 있는 점이 개체마다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