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일반인은 문제를 이해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수학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란 어떤
수준
인지 최대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자.1. P 대 NP 문제컴퓨터 과학자들은 컴퓨터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P형이라고 한다. NP형은 해결하기는 어렵지만 답이 맞는지 알아 내는 건 쉬운 문제다. 실제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김 박사팀은 기존 염색 현미경 진단법으로는 관찰하기 힘들었던 혈관 내 지방을 세포
수준
에서부터 지방이 심하게 쌓인 고형물 형태까지 3차원 영상으로 얻을 수 있었다. 김 박사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인 혈관 내 지방 축적에 대해 더 정밀한 조직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레이저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분리한 리보솜의 작은 소단위체 구조를 각각 얻는 데 성공했던 것이다. 이로써 원자
수준
에서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을 밝혀낼 수 있었다. 요나트 박사가 최초의 리보솜 결정을 만든 지 20년 만이었다.리보솜 연구와 관련해 약 180편의 논문을 발표한 요나트 박사는 2000년과 2001년에 ‘셀’,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장난감에 불과할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하지만 이런 논란은 아이패드가 어느 정도
수준
으로 성공할 것인가의 문제이지 애플이 아이패드를 통해 제시한 방향성에 대한 이견은 아닐 것이다. 경쟁사들의 움직임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HP는 윈도 모바일7을 기반으로 한 ‘슬레이트’를 5월 중에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500nm의 초록빛을 예로 들어보자. 이 경우 금속부분의 너비는 50nm 정도여야 한다. 이 정도
수준
으로 메타물질을 다루는 일이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투명망토를 옷으로 만들 만큼 큰 메타물질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 작은 조각을 어떤 방식으로 이어야 하는지 아직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홍도와 흑산도 외에도 국내 섬 10곳 정도에 모니터링과 밴딩을 담당하는 팀을 파견하는
수준
정도 돼야 세계적으로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고 말한다.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올 7월 철새연구센터를 홍도에서 흑산도로 옮긴다. 현재 흑산도 흑산면 진리 배낭기미 습지 일대에는 센터가 옮겨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발굴은 직업 기자들이 맡고 있다. 교수나 학자들에게 1주일에 한두 번 지면을 할애하는
수준
인 신문이나 다른 인터넷 매체와는 운영 방식 자체가 다르다. 현직 과학자와 연구자로 활동하는 7명의 전문 필진이 만드는 지식 창고는 선정성을 배격하는 편집 방침을 뚜렷이 대변한다. 과학기술정책학으로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광결정과 나노선을 사용해 레이저를 만든다. 나노선은 머리카락을 1만 분의 1로 쪼갠
수준
인 수nm(나노미터, 1nm=10-9m) 굵기의 가느다란 전선인데, 반도체 물질로 이뤄져 있어 전류를 흘리면 빛을 낸다. 빛을 이동시키는 전선이 곧 광원이 되는 셈이다. 또 광결정은 특정 빛을 100% 반사하는 성질이 있어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말하는데, 수십 년 뒤 기후변화가 가져올 상황은 그 정도
수준
을 훨씬 넘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구 기온이 1.5℃ 상승하면 지구상의 생물 30%가 멸종에 이르게 된다”며 “동물들이 멸종되는 것을 지켜보면서 대안을 찾아야겠느냐”고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신경세포가 존재한다. 결국 미니컬럼이 뇌의 논리회로인 셈이다. 따라서 그보다 아래
수준
까지 알 필요가 없다. 단 미니컬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풀어내는 게 숙제로 남아 있다.그래프 이론으로 커넥톰 연구 도와뇌과학이라고 하면 신경생물학자나, 뇌에 관련된 질병을 연구하는 의학자만 관련돼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