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아찔한 마찰력을 조절한다워터파크 슬라이드의 또 다른 핵심 요소는 물의 양이다. 물 양으로 마찰력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물은 공기에 비해 마찰력을 33분의 1로 줄인다. 워터파크의 슬라이드가 놀이터 미끄럼틀에서는 느끼기 어려운 아찔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유다.워터파크가 대형화되는 추세기 ...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공기탱크에는 약 2200L의 공기가 200기압으로 압축돼 있다.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는 기체 양은 1650L다. 나머지 약 550L의 공기는 수면으로 올라올 때 안전을 위해 예비로 남겨두어야 한다. 목표 수심과 수심에 따른 호흡량을 고려해 유영 시간을 결정한다. 수면에서 15L를 호흡하는 김 씨는 수심 30m에서 ...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낮에는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이 약간 많고, 밤에는 토양에서 대기로 나가는 양이 약간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다른 고위도 극지와 비교할 때 이산화탄소 교환이 활발하다고 해요. 이유경 박사님은 “동토층을 연구하면 앞으로 북극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돈을 위한 사냥감이 되다사냥도 중요한 이유였다. 호랑이 사냥은 당시 유통되던 가죽의 양으로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내용이 흥미롭다.15세기에는 호랑이와 표범의 출현이 늘어난 이후 호피와 표피의 사용량이 늘어났다. 당시 시행된 포호 정책은 ‘위민제해(백성을 위해 해로운 것을 없앤다 ... ...
- 과학이 인권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기술’을 엮어내는 창의성이 돋보였다”고 평가했다.이밖에 초등부 대상에는 경기 안양 귀인초 김채은 학생이, 중등부 대상에는 전남 목포 애향중 강우림 학생이 선정됐다 ... ...
- 내 LTE만 느린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것이다. 영화 ‘건축학개론(2012)’의 주인공 승민(이제훈분)은 선배의 펜티엄 컴퓨터 사양을 듣고 “하드가 1000MB(1GB)면 평생을써도 다 못 쓰겠다”며 놀란다. 하지만 오늘날 이미 고화질 영화 한편의 용량이 1GB를 훌쩍 넘고, 우리는 그런 영화를 수십 편씩 담아 둔 하드디스크를 쓰고 있다. 소비자의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한 번 또는 일 년에 한 번 정도 DNA 검사를 해서 체질에 따라서 또는 시기적으로 부족한 영양분 섭취에 적합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거예요. 못하는 게 없고 아프지 않는 슈퍼맨 탄생?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하면 평생 아프지도 않는 슈퍼 인간이 탄생할 수 있을지 몰라요. 게다가 똑똑하고 운동도 ... ...
- [수학뉴스] 밤새도록 수학 계산을 하는 식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야간활동을 수학적인 모델로 만들었다. 우선 노을이 지는 시점에 저장된 탄수화물의 양을 S, 밤 시간을 T라고 놓고 S와 T의 관계를 구했다. 그 결과 애기장대가 야간에 S/T의 속도로 탄수화물을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저장된 탄수화물이 많거나 밤 시간이 짧으면, S/T 값이 크므로 탄수화물을 빨리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만들며 실험을 했다. 그 결과 가장 맛있는 크림티 스콘을 만들기 위해 크림과 잼의 양을 계산하는 공식을 개발한 것이다.유지나 챙 박사의 공식에 따르면 스콘의 지름은 4~6cm, 생크림보다는 클로티드 크림(응고된 크림)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챙 박사는 스콘이 70g일 때, 잼과 크림은 35g 즉, 스콘: 크림 ... ...
- 우리는 수학 게릴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자신만의 새로운 수학 탐구 활동을 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박예린 양과 이윤진 양은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화가 라파엘로가 그린 ‘아테네 학당’이라는 그림에 수학자들이 등장한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다. 최초의 여성 수학자로 알려진 히파티아를 비롯해 피타고라스, 유클리드 같은 수학자들이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