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LTE만 느린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것이다. 영화 ‘건축학개론(2012)’의 주인공 승민(이제훈분)은 선배의 펜티엄 컴퓨터 사양을 듣고 “하드가 1000MB(1GB)면 평생을써도 다 못 쓰겠다”며 놀란다. 하지만 오늘날 이미 고화질 영화 한편의 용량이 1GB를 훌쩍 넘고, 우리는 그런 영화를 수십 편씩 담아 둔 하드디스크를 쓰고 있다. 소비자의 ...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iaminsu@gmail.com지리학 전공으로 현재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고양이와 함께 살고 있으며, SF를 좋아해 몇 권의 책을 번역하기도 했다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하버드의대에서 수학후 지금까지 경희대 교수로 재직중이다. 다양한 RNA 바이러스의 분자생물학을 연구하며 현재 국제바이러스계통분류위원회의 한국학회대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이러스의 인간사육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 ...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아찔한 마찰력을 조절한다워터파크 슬라이드의 또 다른 핵심 요소는 물의 양이다. 물 양으로 마찰력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물은 공기에 비해 마찰력을 33분의 1로 줄인다. 워터파크의 슬라이드가 놀이터 미끄럼틀에서는 느끼기 어려운 아찔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유다.워터파크가 대형화되는 추세기 ...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공기탱크에는 약 2200L의 공기가 200기압으로 압축돼 있다.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는 기체 양은 1650L다. 나머지 약 550L의 공기는 수면으로 올라올 때 안전을 위해 예비로 남겨두어야 한다. 목표 수심과 수심에 따른 호흡량을 고려해 유영 시간을 결정한다. 수면에서 15L를 호흡하는 김 씨는 수심 30m에서 ...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낮에는 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이 약간 많고, 밤에는 토양에서 대기로 나가는 양이 약간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다른 고위도 극지와 비교할 때 이산화탄소 교환이 활발하다고 해요. 이유경 박사님은 “동토층을 연구하면 앞으로 북극 생태계가 어떻게 변할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않는 이유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글 양재명 jaimyang@sogang.ac.kr서강대 생명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바이러스학을 전공했다 ... ...
- 전자공학 - 헉, 휴대전화에 소변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미생물의 활동에서 나온 부산물로 우리가 소변을 많이 볼수록 미생물이 만드는 전기의 양은 많아진다”며 “소변은 우리가 끝없이 공급할 수 있는 자원”이라고 말했다.이미지 출처│REX, NOAA, 플로스원, 위키미디어, 브리스톨대 ... ...
- 돈 벌기 힘든 세상일수록 뜨는 학과가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조 교수는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요즘은 ‘빅데이터(big data)’라고 한다. 조 교수팀의 최근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를 분석해 원하는 정보를 얻어내는 일이다. 조 교수는 “표본 개수가 압도적으로 많아 정확도가 높은 것이 빅데이터 ... ...
- 빅데이터 시대와 데이터마이닝 기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하는 의지입니다.졸업 후 어떤 분야로 진출하나요? 연구실 졸업생들의 진로는 다양합니다. 학계에 남아 연구와 교육을 계속하기도 하고, 연구실에서 배운 내용을 활용해 회사를 만들어 운영하기도 합니다. 취업을 선택한 경우, 대부분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제조사, 통신사, 카드사, 신용평가사,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