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검색하면 강좌 동영상도 여럿 볼수 있습니다. 이걸 하는 사람은 흔히 L자 모양의 막대를 양손에 쥐고 걸어다닙니다. 막대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데, 걷다가 두 막대가 교차하는 지점이 있으면 그 아래에 수맥이 있다는 식입니다.수맥파? 그런 거 없다!다우징은 역사가 수백 년이 넘습니다. 그러다 ... ...
- 글루텐과 이스트의 맛있는 합작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아무리 밀어도 자꾸 원상태로 돌아와요. 정말 살아 있는 것 같죠? 반죽이 넓어지면 좌우 양끝을 안쪽으로 접어요. 그리고 접은 반죽을 아래에서 위로 둘둘 말아 식빵 팬에 3~5개씩 넣어요. 180℃로 예열한 오븐에서 25분가량 구우면 덩어리들이 붙으면서 고소한 식빵이 된답니다.자~, 이제 완성된 빵을 ...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뿐이다. 화산폭발을 올바로 이해하고 ‘상상 그 이상’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 관심을 갖고 그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Part 2. HOT VOLCANOES!Part 3. 지구를 뒤흔든 화산Part 4. 상상 ...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달리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며,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난자를 쓰지 않는다. 양쪽의 장점을 가진 셈이다. 게다가 복제배아줄기세포에 비해 이미 기술이 널리 보급돼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IPSc를 만들기 위해 세포 속에 넣어야 하는 유전자 중에는 암을 일으키는 성질을 지닌 것이 많다. 유전자 ... ...
- 더 넓은 세상에서 진짜 꿈을 찾았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동두천고 3학년 주수경 양은 좀 더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싶은 생각이 생겼다고 전했다.비록 수상하지 못한 이들도 많았지만 이들의 경험과 한마디는 이들만의 것이 아닌 독자 모두의 것이 아닐까. 값진 경험으로 꿈을 키워나가겠다는 참가자들은 ... ...
- [수학뉴스] 세계 7대 수학 난제 소동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지난 4월 17일, 건국대 조용민 석좌교수(물리학)가 세계 7대 수학 난제를 풀었다고 발표했다. 세계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인 ‘양-밀스 이론과 ... 연구가 클레이수학연구소에서 제시한 세계 7대 난제와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라며, “양-밀스 문제의 핵심을 오해해 생긴 일”이라고 설명했다 ...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만들 때 필요하답니다. 피부보다 더 예민한 인공피부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서갑양 교수팀은 대장에 나 있는 융털돌기를 흉내 내 누르거나 당기거나 비트는 자극을 느낄 수 있는 센서를 만들었어요. 과학자들은 근육이 수축하거나 이완되는 성질을 본떠 탄소나노튜브로 인공근육도 개발하고 ... ...
- [환상 퍼즐여행2] 수학 기면증에 빠진 세계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스쳐 지나가는 네트워크의 중심지를 찾는 거야. 바로 그 중심에 신약을 뿌리면, 신약의 양은 좀 적어도 이곳을 스쳐 지나간 환자는 모두 치유되지. 또한 이곳을 스쳐 지나간 환자와 마주친 다른 환자에게도 자가 치료 능력이 생성돼 병이 서서히 소멸돼 갈 걸세.”김 교수의 설명을 들은 폴 일행은 ... ...
- 기차 연료, 바닥에 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KAIST가 지난해 개발한 무선 충전 전기 버스가 공급받는 전기 용량의 세 배가 넘는 양인 60㎑의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열차 이동도 거뜬해요. 이 방식을 사용하면 전신주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열차가 전력 공급 장치와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장치의 마모도 줄일 수 있답니다. KAIST는 ... ...
- PART 2. 남자에서 아빠로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여러 차례 발표된 바 있다. 심지어는 ‘여성’과 결혼하는 것만으로도 테스토스테론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2006년 학술지 ‘정신신경내분비학’에 실린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여성과 짝을 이룬 남성은 독신 남성에 비해 테스토스테론이 적지만 남성과 짝을 이룬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