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3,1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개화나 열매와 같은 유전적 결정을 조절할 수 있는 열쇠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 나간다면, 우리가 보고 즐기는 꽃과 열매가 더욱 풍성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2017.04.04
- 시아노박테리아의 게놈이 해독되면서 이야기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즉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시아노박테리아는 실제 그 일부였던 셈이다. 게놈분석 결과 깜깜한 곳에서 살고 있는 시아노박테리아에는 예상대로 광합성을 하는 유전자 자체가 없었다. 연구자들은 이 그룹을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않게 되거나 아니면 필사적으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애쓰게 된다. 따라서 학자들은 우리는 스스로의 행동을 뒤돌아보며 검열하고, 스스로를 비난할 줄 알기 때문에 잘못을 줄이게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그 때문에 스스로를 파괴하게 되기도 한다고 이야기한다. 강한 죄책감, 부끄러움, 자기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바람 등 모든 여건이 갖춰진 상태에서 버튼이 눌러진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우리나라의 산은 이제 어딜 가도 나무가 빽빽이 들어차 있고 이상고온과 가뭄 역시 일상이 된 것 같다. 산불예방과 함께 출구전략도 세워야 제2의 양양 대화재를 막을 수 있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 [표지로 읽는 과학]DNA가 세포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이유는 ‘종이접기’ 때문동아사이언스 l2017.03.26
- Dietz)의 연구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논문 바로가기) 머리부터 발끝까지, 우리 몸 세포에 들어있는 DNA는 염기서열이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세포마다 발현되는 양상은 서로 다르다. 연구진은 그 이유가 세포마다 구성성분이 조금씩 달라 DNA가 접히는 모습도 다르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2017.03.25
- 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끼치게 될 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모자란 잠’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삶에 많은 악영향을 미친다. 문제는 좀 더 중요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모자란 잠의 악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최근 심리과학지(Psychological Science)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한동안 정신을 말똥말똥해지는 이유다. 문득 의지보다는 몸 속 호르몬과 신호분자가 우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더 큰 게 아니가 하는 생각이 든다. 식욕은 물론이고 성욕, 수면욕, 심지어 모성까지 행동의 동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이들 분자와 만나게 된다. 물론 의지로 욕구가 행동으로 ... ...
- 30대, 50대가 외로움을 더 느끼는 이유는 이것 때문!2017.03.19
- 여부가 일정하다고 할 때 예측한 외로움 수준이다. 생각해 보면 이 두 시기는 흔히 우리가 늦은 나이에 오춘기가 찾아왔다고 하거나(30대) 중년의 위기를 겪게 된다고들 하는 시기(50대)와 맞물리는 것 같기도 하다. 연구자들은 저 두 나이대가 삶에 있어 큰 전환점이 되는 시기이며, 특히 30대는 ...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2017.03.14
- 한반도는 1000km가 조금 더 되는 거리다. 그리고 10만 년 전이면 한반도는 반도가 아니었다. 우리나라에서 데니소바인의 뼈가 나왔다는 소식이 들릴 날을 꿈꿔 본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2017.03.12
- 가져가기 보다 ‘권력형 범죄’로서의 시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학자들의 조언이다. 우리 사회에서도 이런 인식이 좀 더 자리잡길 바래본다. ※ 참고문헌 Lisak, D., & Roth, S. (1988). Motivational factors in nonincarcerated sexually aggressive m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795–802. Kaukinen, C. (2004). Status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