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전남위녀법이 소개돼 있었지만, 17세기 이후에 사라진 사실을 확인했다. 이때쯤 우리의
남아
선호사상이 완전히 굳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양생문화는 건강관리법이다. 오늘날의 우리 못지 않게 우리 조상도 건강관리에 신경을 썼다. 이퇴계는 매일같이 도인체조법을 시행했고, 홍의장군 곽재우는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추출해낸 것으로, 이 과정에서 많은 향들이 제거될 뿐 아니라 때로는 유기 용매가
남아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까 염려되기도 했다.그런데 최근 하와이의 한 커피회사는 유전공학을 동원해 원천적으로 카페인 없는 커피나 차를 실현시키려고 한다. 유전자 이식을 통해 카페인 생합성 효소 유전자를 ... ...
4. 돛올린 국내 초전도기술 개발의 현장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탄소원자의 농도가 낮아야 한다. 분말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면 탄소원자가
남아
나중에 열처리할 때 결정 조성을 불균일하게 만듦으로써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금속계 초전도선은 10km 이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고온초전도선의 경우 현재 2km 정도가 세계적인 ... ...
맞붙은 그릇 속에 열쇠 숨기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부으면 그릇 속의 공기가 수축하면서 압력이 낮아진다. 물론 그릇 속에는 공기가 조금
남아
있어 완전한 진공은 아니지만, 이 정도만으로도 떼어내기가 힘들다.▶ ▶ ▶ 이 장치를 누가 처음으로 생각해냈을까?이탈리아의 과학자 토리첼리(1608-1647)는 수은주의 실험을 통해 최초로 진공상태를 ... ...
소행성 2880년 지구와 부딪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멸망시켰다고 믿어지는 소행성보다는 10배 작은 크기다.충돌까지는 아직 많은 시간이
남아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대비책을 세울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야르코프스키 효과’를 이용해 소행성 궤도를 바꾸는 것이다. 이 효과는 소행성이 태양으로부터 흡수한 에너지를 우주공간으로 방출할 때 ... ...
유전자 감식으로 비행기 탑승자 신원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뼈와 같은 단단한 부분뿐이다. 이것으로 어떻게 누구의 것인지를 밝혀낼 수 있을까. 뼈만
남아
있는 시신의 신원을 밝히기 위해서는 유전자 감식이 이뤄진다. 그러려면 뼈에 숨어있는 DNA를 추출해야 한다.뼈는 가운데 부분에 혈액세포를 만들어내는 연한 조직인 골수와 단단한 뼈대를 구성하는 ... ...
뷰티풀 마인드 vs 굿 윌 헌팅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친구들은 모든 것을 잃고 버림받은 그에게
남아
있던 전부였다.윌에게는 힘든 선택이
남아
있다. 자신이 떠나지 않는 한 친구들은 절대로 떠나지 않을 것을 윌은 알고 있다. 그런데 윌이 ‘평생 책상에 앉아서 머리나 굴려야 하는 직장’을 선택한다면, 복도 바닥을 청소하고 낡은 건물을 해머로 ... ...
깃털공룡이 말하는 조류 진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대답이다.현재 공룡으로부터 새의 진화에 대한 수수께기는 아직 풀지 못한 난제가 많이
남아
있다. 즉 새의 공룡조상은 온혈동물이었을까. 그렇다면 공룡은 언제 어떻게 냉혈에서 온혈동물로 변했을까. 언제 공룡들은 날기 시작했을까. 땅에서 뛰어올라 날았을까. 또는 나무사이를 뛰어다니다가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모발로 배설돼 축적된 마약 성분은 모발을 잘라버리지 않는 한 언제나 축적된 상태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으면 아무리 오래 전에 먹은 엑스터시라도 잡아낼 수 있다는 얘기다.마약 복용여부 모발검사는 1978년 독일의 화학자 바움가트너가 모발에서 모르핀 성분 복용여부를 ... ...
티라노사우루스 느림보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초식공룡인 용각류에 속하는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었는데, 이상하게도 앞발의 발자국만
남아
있었다. 그럼 이들이 물구나무서기라도 했던 것일까. 여러분도 잘 알다시피 용각류는 육중한 체중을 오직 앞발로 지탱한채 단 1초라도 견딜 수 없는 거대한 공룡이다. 일부 학자들은 이 공룡이 걸어갔던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