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년왕국 신라는 숯으로 망했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대량공급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이 중 한 가마에서는 안쪽에 많은 숯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 분석해보니 짐작한 대로 참나무로 만든 숯이었다.당시의 숲은 발굴되는 유적 자료와 기록, 그리고 여러가지 정황으로 미뤄봐 지금의 경주와는 달리 소나무가 아니라 참나무를 중심으로 하는 ... ...
구겨진 종이에 관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종이 한장을 구겨서 작은 뭉치로 만드는 과정에 어떤 비밀이 숨어있을까. 이에 대한 연구가 물리학 저널인 ‘피지컬 리뷰 레터’ 2월 18일자에 발표됐다.사실 종이를 구기는 ... 변했다.연구팀은 종이뭉치가 왜 이같은 특징을 갖는지 알지 못한다.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남아
있는 것이다 ... ...
3. 전세계 디지털 복원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불국사. 디지털로 복원한 석가탑(①)과 다보탑(②)의 모습이 실제처럼 정교하다. 현재
남아
있는 불국사는 통일신라 당시의 모습이 아니다. 임진왜란 때 불탄 후 조선시대 건물 양식으로 다시 복원한 것으로, 진정한 복원이 되려면 신라시대 양식의 불국사를 만들어야 한다.파르테논 페디먼트파르테논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최종 선정해 사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아직까지 해결해야 할 많은 난제들이
남아
있지만 탯줄과 태반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는 또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무심코 버려졌던 탯줄과 태반도 이제는 더이상 적출물이 아닌 생명자원으로 인식될 때다.가족과 인류 공동의 건강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롤링에게 조언을 구했다는 후문이 전해진다.영화 ‘반지의 제왕’은 앞으로 두편이 더
남아
있다. 그리고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은 원작의 에피소드를 맞춰 여섯편이 더 제작될 계획이라고 한다. 앞으로 몇년 간 판타지물은 두 영화의 인기에 힘입어 전 세계적인 트렌드를 형성할 수 있다. 몇해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현재
남아
있는 유적이지만 본래 형태를 찾아가는 복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남아
있는 불국사는 통일신라 당시의 모습이 아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불타버린 후 조선시대 건물 양식으로 다시 복원한 것으로 진정한 복원이 되려면 신라시대 양식의 불국사를 만들어야 한다.원형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늦어 두꺼운 나무를 먹어치우는 데는 수백년이 걸리니, 임진왜란 때의 배 정도는 아직
남아
있을 수 있다.한때 나무배는 바닷물보다 비중이 작으므로 가라앉을 수 없어 인양작업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비중이란 무게를 부피로 나눈 값인데, 거북선을 만든 소나무의 비중이 0.5이고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수 없는 무령왕릉 내부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천4백75년 전 온갖 부장품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생생한 무령왕릉 안을 보여줄 수 있다는 두가지 장점이 있다. 이것은 디지털 복원만이 가능한 것이다.이제 무령왕릉의 디지털 복원을 시작으로 우리의 다른 문화재의 디지털화도 시급하다. 우리는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그 아래에 있던 금속 부분이 바깥으로 노출된다. 이때 드러난 금속부분을 녹이고 다시
남아
있는 감광층을 없애면, 실리콘 기판 위에 금속 패턴이 형성된다. 바로 이것이 반도체칩 공정과정이다(그림1).이같은 공정과정이 MEMS의 3차원 구조물을 형성시킬 때 그대로 이용된다. 다만 공정과정에서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선향재가 지어지기 이전인 1820년대 초반의 ‘동궐도’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실물로
남아
있는 것으로 경복궁의 집옥재와 자하문 밖 부암동에 있는 석파정의 사랑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집의 정확한 건축연대는 알 수 없지만 모두 19세기 후반에 지어진 집들이고 당시 왕실과 세도가의 중국취미를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