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감도
뉴스
"
분리도
"(으)로 총 2,63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파트에 도시가스 쓰는 연료전지 설치한다면…
2014.12.23
프라세오디뮴(Pr)과 바륨(Ba), 망간(Mn)과 산소가 만든 페로브스카이트 이중층 구조. - UNIST 화학공학과 제공 수소 대신 천연가스나 프로판 가스를 넣어도 발전이 가능한 연료전지 전극이 최초로 개발됐다. 김건태 울산과기대(UNIST) 화학공학과 교수는 22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페로브스 ... ...
올해의 바이오뉴스 키워드는 에볼라-기초연구비-나고야의정서
2014.12.21
국내 생명과학 연구자들이 꼽은 올해의 바이오뉴스 키워드로 에볼라, 기초연구비, 나고야의정서가 선정됐다.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국내 생명과학관련 연구자들이 선정한 ‘2014년도 국내 5대 바이오 성과와 뉴스’를 발표했다. 이달 5~10일 BRIC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한 온라인 설문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워너브러더스코리어 제공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SF영화 ‘인터스텔라’가 이달 13일 기준 누적관객 950만 명을 넘겼다. 지난해 하반기에 개봉한 SF영화 ‘그래비티’가 320만 명을 동원한 것에 비하면 몇 배나 많은 관객들이 인터스텔라를 보기 위해 영화관을 찾았다. 인터스텔라의 인기 덕분에 영 ... ...
[일본, 하야부사 2 발사 성공] 소행성 1999JU3 향해 52억 ㎞ 여정 시작
2014.12.03
일본의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2’가 3일 낮 자국 로켓인 H2A에 실려 발사되고 있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제공. 일본의 두 번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2’가 발사에 성공하며 6년 간의 긴 여정을 시작했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3일 오후 1시 22분 4초 가고시마현 다 ... ...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
2014.12.03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제공 귓속 달팽이관(와우)의 핵심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청각장애인이 이비인후과에서 이식받는 ‘인공와우’의 성능을 크게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허신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은 인공와우의 ... ...
[동정] 한국화학연구원 外
2014.12.02
■인사 ◇한국화학연구원 ▽과장급 △그린화학공정연구본부 탄소자원전환연구센터장 박용기 △나노촉매연구센터장 장종산 △온실가스자원화연구센터장 장태선 △계면화학공정센터장 박인준 △바이오융합화학연구센터장(겸직) 송봉근 △광에너지융합소재연구센터장 문상진 △분리막연 ... ...
물과 기름, 초음파로 섞어 봤니?
2014.12.01
추민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신기능재료표준센터장팀은 초음파를 이용해 기름을 잘게 분산시켜 물과 섞이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계면활성제 없이도 물과 기름을 섞을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추민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신기능 ... ...
맥가이버를 보고 과학자를 꿈꾸던 소녀
동아사이언스
l
2014.11.27
‘빰빰빰빰~ 빠~ 빠밤빰~ 빠빰빠~♪’ 경쾌한 음악과 함께 악당을 물리치고 어떤 상황에서도 문제를 해결하던 맥가이버. 비밀 임무를 수행하는 첩보원 맥가이버의 무기는 총이 아닌 화학과 물리학 지식이었다. 중학생 시절 맥가이버를 보게 된 이현정 박사는 맥가이버처럼 과학을 실생활에 적 ... ...
온전한 골격 육식공룡 화석 국내 첫 발견
동아일보
l
2014.11.25
[동아일보] 경남 하동서 두개골-아래턱까지 두발로 걸으며 사냥하는 ‘수각류’… 몸길이 50cm 새로운 종 가능성 커 국내에서 육식 공룡의 두개골 화석이 처음 발견됐다.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종일 가능성이 제기돼 주목된다.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가덕리 ... ...
플라스틱 기판에 무기물 반도체 옮기기 성공
2014.11.23
플라스틱 기판에 전사한 무기소재 메모리 소자.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무기물로 만든 고성능 반도체를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 위에 옮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무기물은 유기물보다 전기적 성능은 뛰어나지만 얇고 휘어지는 특성이 없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메모리 등을 만들기에는 한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