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감도
뉴스
"
분리도
"(으)로 총 2,638건 검색되었습니다.
말(馬)이 호흡기 질환 안 걸리게 하려면?
2014.11.19
연구진은 몽골 현지에서 말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현재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가의 말 인플루엔자(H3N8) 백신을 대체할 수 있는 백신 제작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송대섭 선임연구원와 정대균 책임연구원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기계연 연구팀이 개발한 퀀텀단 대량생산 기술의 원리. 양자점 합성 원액과 양자점 분리를 위한 용매를 나란히 흐르도록 설치했다.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대량의 반도체 양자점을 신속하면서도 고품질로 균일하게 정제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퀀텀닷(Quantum Dot)’으로 ... ...
“터치다운! 새 주소는 혜성 67P”
동아일보
l
2014.11.14
[동아일보] 로제타호 탐사로봇 필래, 혜성 착륙 “터치다운! 제 새 주소는 67P입니다.” 한국 시간으로 13일 오전 1시경 지구에서 5억1000km 떨어진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애칭 ‘추리’)에 착륙한 탐사로봇 필래가 자신의 트위터 계정으로 전한 첫 메시지다. 가정용 세탁기만 한 필래의 깜찍 ... ...
[채널A] ‘로제타호’, 사상 최초 혜성 착륙…임무는?
채널A
l
2014.11.14
지금 보신 영상, 1998년 개봉한 영화 ‘아마겟돈’의 한 장면입니다. 지구를 향해 돌진하는 소행성으로 우주선을 타고 가서 폭파시킨 뒤 인류를 구조한다는 내용인데요. 이 영화 같은 장면이 오늘 새벽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유럽우주국이 로제타 탐사선에서 분리된 필레 탐사로봇을 혜성에 안착 ... ...
[채널A] 혜성 ‘터치다운’ 세기의 우주쇼…3시간 뒤 첫 발
채널A
l
2014.11.13
밤 하늘을 가르는 혜성은 어디서 왔고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과학자들이 이 오랜 물음에 답하기 위해 직접 혜성에 로봇을 보냈습니다. 앞으로 약 3시간 뒤면 인류가 혜성에 역사적인 첫 발을 내딛게 됩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구로부터 5억 8000만km 떨어진 혜성에 세탁기보다 작은 ... ...
독한 돼지 냄새, 미생물로 잡았다
2014.11.12
회식의 꽃 삼겹살, 회식 때 입이 즐거운 돼지 고기와 달리 돼지를 키울 때 코는 괴롭다. 돼지 우리에서 나는 지독한 냄새는 양돈 농가의 고충 중 하나. 최근 국내 연구진이 돼지 냄새의 주범인 돈분 냄새를 잡는 법을 찾았다. 양돈 농가의 모습. - 동아일보DB 제공 유재홍 농촌진흥청 농업 ... ...
회로 두께 딱 1nm, 나노 반도체 나오나
2014.11.05
도체 성질을 보이는 인듐 원자선(왼쪽)과 부도체 성질을 보이는 인듐 원자선(오른쪽). 서로 구조가 다른 것이 특징이다. 절연체상에서 볼 수 있는 육각형 구조(주황색)을 금속상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 한양대 물리학과 제공 반도체는 전류가 자유롭게 흐르는 도체와 흐르지 않는 부도체의 중간 상 ... ...
北 잠수함 미사일을 두려워 해야 하는 까닭
2014.11.03
미군 핵잠수함에서 발사되는 SLBM 트라이던트-II의 모습. 위키미디어 제공. 북한은 올해 들어 잠수함 전력 증강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사일 수직발사관이 탑재된 잠수함을 건조하고 있다는 소식도 알려지며 많은 우려를 낳고 있다. 잠수함에서 직접 장거리 미사일을 쏘아 ... ...
[스페이스십2 폭발] 지상 100km 우주관광, 언제쯤 가능할까
2014.11.03
영국 민간회사 버진갤럭틱이 개발 중인 우주여행선이 현지 시간으로 지난달 31일 시험 비행 도중 폭발했다. 미국 모하비 항공우주기지에서 출발한 버진갤럭틱의 민간 우주여행선 ‘스페이스십2(Spaceship2)’가 약 13.7km 상공에서 폭발하면서 조종사 1명이 죽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에 따라 내년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220~250nm 크기의 틈새로 맨홀뚜껑을 닮은 나노구조체를 채워 새로운 분리막을 개발했다. -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하수관으로 빗물을 걸러 흘려보내는 맨홀뚜껑의 형태와 기능을 모방한 고성능 분리막을 개발했다. 양질의 분리막이 되기 위한 조건은 작은 물질과 큰 물질을 정확하게 분류할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