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01
2015년경부터 우리나라도 우주왕복선 개발을 시작할 것이다.우리별 위성은 우리나라
최초
의 인공위성으로 1992년 무게 50kg의 우리별 1호가 영국 세레이대와 공동으로 개발돼 발사됐다. 1년 뒤인 1993년에는 우리별 1호를 개량한 우리별 2호가 발사됐고, 순수한 국산 소형위성인 우리별 3호는 1999년 인도의 ... ...
수난의 시대, 역사 속의 여성과학자
과학동아
l
200201
공동으로 수상한 크리스티안 뉘셀라인-폴하드(Christiane N sselein-Volhard, 1942-)는 독일에서는
최초
이자 유일하게 막스플랑크 생물학 연구소 소장을 맡았다. 그는 후배 양성에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해 발생생물학계에 커다란 공헌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뉘셀라인-폴하드로부터 지도를 받은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01
완전히 수성의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메신저는 지구시간으로 12개월 정도 수성
최초
의 위성으로 있으면서 우리가 모르는 나머지 절반의 이력서를 채울 것이다 ... ...
6T - 메가톤급 산업혁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200201
1957년 옛소련에서
최초
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를 발사하고, 1969년 미국이 인간을
최초
로 달에 보내는데 성공한 것 모두 냉전시대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방송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ST는 상용화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가장 최근에 등장한 CT에는 게임과 애니메이션 같은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12
위치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국내연구팀이 세계
최초
로 내놓았다.삼성종합기술원 최원봉 박사 연구팀이 그 주인공. 최박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위치제어뿐만 아니라 테라비트급(테라는 1012)인 꿈의 집적도를 ... ...
버스에 숨은 첨단과학 찾기
과학동아
l
200112
나라로 들어오는 비행기 중 아군과 적군의 비행기를 구분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최초
의 RFID가 탄생했다. 친구와 적을 확인하는 장치였던 셈이다.오늘날에는 RFID가 이용되는 분야는 광범위하다. 버스카드뿐 아니라 각종 출입구의 신분확인증, 또는 각종 물품의 자동물류처리에서 바코드 대신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12
이들이 주고받아야 하는 수만개의 변수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또한 K스타 장치는 세계
최초
로 정상상태 운전이 가능한 장치다. 정상상태로 운전 중 필요에 따라 플라스마의 위치나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제어가 가능해야 한다. 또 플라스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면서 미리 입력해둔 ... ...
② 복제된 자손에게 핵 유전자만 전달된다?
과학동아
l
200112
이 문제가 복제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였다고 평가한다. 국내
최초
로 동물복제에 성공한 서울대 황우석 교수는 “한우의 체세포 핵과 젖소의 난자로 복제된 소는 한우로 태어나지만 나중에 새끼를 갖게 되면 젖의 양이 한우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
제1회 청소년 물리탐구토론대회 - 발표 · 반론 · 평론의 3박자
과학동아
l
200112
개최되는 국제청소년물리학자토너먼트(Internation Young Physicists’Tournament, IYPT)에
최초
의 한국 대표로 참가한다. 이번 국내대회는 국제대회 참여팀을 선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때문에 국내 본선대회는 영어로 진행됐다. 참가한 학생들의 영어실력은 뛰어났지만, 토론에 그리 익숙지 않은 상황에서 ... ...
인류
최초
의 발명품 이쑤시개
과학동아
l
200112
인류
최초
의 발명품으로 학자들은 이쑤시개를 든다. 물론 인류학자들이 석기시대 사람들이 이쑤시개를 사용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아낸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학자들은 초기 인류의 치아에 남아 있는 홈을 분석한 결과 커다란 이쑤시개를 사용한 흔적이 분명하다고 단언한다. 이 홈들은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