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복제가 동물복제보다 쉽다?
과학동아
l
200109
996년 영국의 로슬린 연구소에서 세계
최초
의 복제양 돌리가 태어났을 때 세상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우량 가축을 복제해 축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기대뿐 아니라 인간복제도 머지 않았다는 흥분감에서였다. 그런데 돌리는 태어난지 2년 뒤인 1999년부터 같은 나이의 양에서 보기 드문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09
상한다. 소변을 가열하면서 관찰하다가 암모니아를 발견한 것이다.1903년 라이트 형제가
최초
의 비행을 성공하기 무려 8백년 전에 비행을 꿈꾸던 선구자가 있었으니, 그는 11세기 영국 윌트셔 대수도원의 수도사였던 에일머다. 에일머는 하늘을 날기 위해 새의 깃털로 된 날개를 만들었다. 그리고 ... ...
④ 세계 과학자 공유하는 생명의 데이터베이스
과학동아
l
200109
만들어지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생물학 데이터는 눈에 띄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1982년
최초
의 DNA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가 독일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유럽분자생물학연구실(EMBL)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후 미 국립생물정보센터(NCBI) 밑에 있는 GenBank와 일본 DNA정보은행(DBJ)도 데이터를 축적했다.199 ... ...
바나나 게놈지도 작성된다
과학동아
l
200108
게놈지도가 작성된 세번째 식물이면서
최초
의 열대작물이 된다. 지난해 말 식물
최초
로는 쌍떡잎식물인 애기장대의 게놈지도가 완료됐고, 올해 초에는 외떡잎식물의 대표주자로 벼의 게놈지도가 작성됐다 ... ...
태양계 7대 비경 관광가이드
과학동아
l
200108
적합한 우주복으로 갈아입고 하나둘씩 달표면에 내려선다. 범수와 하영은 인류 역사상
최초
로 달에 인간의 발자국을 남겼던 닐 암스트롱의 감흥에 젖는다. “내게는 작은 발자국이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라는 그의 말도 떠올리면서. 재미있는 것은 스페이스 투어 여행사가 관광객이 ... ...
왜 과학자는 과거 기후를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108
나이테, 또는 역사기록이 바로 그것이다.| 가장 오래된 관측자료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
의 측우기에 의한 강우량 관측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1770년 이전의 자료는 소실돼 구할 수 없다. 하지만 1770년 이후의 관측자료는 승정원일기에 충실히 기록돼 있어 고기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 ...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Ⅱ
과학동아
l
200108
둥실 떠오르자 다이달로스도 몸을 던집니다. 다이달로스의 몸도 둥실 떠오릅니다. 인류
최초
의 우주인이 탄생하는 순간입니다. 지구를 벗어나 태양 가까이 날아갈 정도였으니 우주인이라 할 수 있겠지요.이카로스를 친 태양열 출발은 늦었어도 재간 좋은 다이달로스는 곧 아들을 앞섭니다. ... ...
5인의 과학자 무인도 서바이벌 실험노트
과학동아
l
200108
고운 모래로 얼굴의 불순물을 닦고 식물의 에센스 오일을 바르는데 그쳤다.비누에 대한
최초
의 기록은 기원후 1세기경 로마의 역사가 플리니의‘박물지’에 나오는데, ‘(지금의 프랑스를 일컫는) 골지방의 사람들이 머리카락을 붉은 색으로 물들이는데 사용하기 위해 발명한것’이라고 적혀 있다. ... ...
3. 신의 결정 거부하는 성전환수술
과학동아
l
200108
일반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그 기원은 겨우 20세기 중엽이다.그러면 성전환수술을 받은
최초
의 사람은 누구였을까. 이를 밝히기는 쉽지 않다. 그것은 수술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대에는 유럽, 아시아, 중국 등지에서 거세를 한 트랜스젠더들이 존재했다. ... ...
1. 최신항공기 경량화의 첨병 강철만큼 강하고 5백℃ 견딘다
과학동아
l
200108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38년 미국 듀퐁사의 캐로더스(W. H. Carothers)가 실험실에서
최초
로 합성한 고분자가 상업적으로 생산돼 시판되면서부터다. 이 합성고분자가 바로 당시의 상품명이기도 했던 ‘나일론’(NYLON)이다. 나일론의 개발은 의생활에 큰 혁명을 일으켰으며, 1960년대에는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