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로봇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한편 KAIST 가상현실연구소와 국민대 의상디자인과팀이
공동
작업한 입는 컴퓨터(웨어러블 컴퓨터)는 인간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선 기계를 잘 표현하고 있다. 몸의 컨디션을 감지하고 쾌적함을 유지하는 똑똑한 운동복은 사람과 기계의 결합이 머지않았음을 말하고 있다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사용된다 한 자료 통로(채널)에서 시분할의 개념을 적용하여 여러 개의 주변장치를
공동
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 시분할의 개념을 적용하면 여러 개의 주변장치가 순차적으로 통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중앙처리기의 주변장치와도 속도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즉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네이처’는 한국 생명공학벤처기업 마크로젠과 일본 도쿄농대 고노 도모히로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쥐에서 난자만으로 새끼를 태어나게 한 연구결과를 실었다. 연구팀은 쥐에서 덜 자란 난자를 채취한 다음 유전자를 조작해 각인 현상이 일어난 정자의 유전자처럼 ‘변장’시켰다. 이를 성숙한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있기 때문이다. 말하는 전자제품의 시대가 머지않았다. 다음소프트는 한 로봇개발업체와
공동
으로 말하는 로봇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심전심 인터넷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 기계 스스로 웹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기존 웹 개념을 훨씬 ... ...
친절한 거미씨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동아문화센터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하고 LG가 후원한 중·고교 과학교사를 위한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지난 1월 11일부터 13일까지 열렸다. 이번 26번째 탐사 장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 2박 3일간 이뤄진 탐사를 통해 경기도 지역의 중·고교 교사들은 거미의 신비에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진행되고 있다. 필립스와 연세대는 다중탐침형 저장기기에 광학기술을 접목하는 연구를
공동
추진하고 있다. 아직 실용화하기엔 다소 이르지만 500GB 이상의 기록용량과 높은 전송속도, 다른 방식의 기술과 융합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많은 곳에서 연구 중이다. 최종 승자 결정은 소비자의 ... ...
스승과 제자, 카시니와 뢰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모른다.카시니 이전, 덴마크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는 서로 떨어진 두 지점에서 혜성의
공동
관측을 통해 그 시차를 구한 다음 혜성의 위치가 지구 대기권 밖에 있음을 증명했다. 즉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보면 가까이 있는 물체는 먼 곳의 물체에 대해 위치가 다르게 보이는 사실을 활용해 거리를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선정 가능성이 매우 높은 품목이다. 실제로 한국원자력연구소와 CJ는 현재 우주김치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 정읍방사선연구원 이주운 박사는 “2007년 한국우주인이 우주에 발사될 때까지 완전 상용화가 가능하다”며 “우주에서 김치를 먹는 모습만으로도 광고 효과는 매우 뛰어날 것”이라고 ... ...
2. 한류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힘’으로 바꿨다.2002년 월드컵을 치르면서 ‘붉은 악마’는 세계인의 뇌리에 한국식
공동
체 의식의 진수를 보여줬고, 밥에 각종 야채를 올려 고추장에 쓱쓱 비벼먹는 비빔밥 문화는 카메라폰, MP3폰, DMB폰을 앞세운 한국형 디지털 컨버전스로 재탄생했다.‘태산(泰山)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의성어와 의태어가 대표적인 예다. 개굴개굴이 겨울연가 인기 비결?지난해 필자와
공동
연구팀은 사람들이 의성어나 의태어 단어를 보는 동안 대뇌 활성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규명하기 위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연구를 했다. 피험자에게 화면에 제시된 의성어 단어를 보여주자 대뇌피질에서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