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발표했다.서울대 천문학과에서 석사를 마친 김삼 연구원은 한국과학재단 해외
공동
연구지원사업덕분에 지난해 6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 넘게 CFHT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11월부터는제미니천문대에서 송 박사와 함께 연구할 예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헨쉬(64) 교수가 레이저를 이용한 정밀 측정방법을 개발한 공로로 글라우버 교수와
공동
수상했다. 상금 1000만 크로나(13억5000만 원)는 글라우버 교수가 500만, 홀과 헨쉬 교수가 각각 250만 크로나씩 나눠받는다. 빛의 입자성으로 측정 기반 확립서로 다른 빛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예를 들어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분야 중 하나”라고 그는 말한다.최근 천문연구는 국제적인
공동
연구가 많기 때문에 한국이 얼마든지 파트너로 참여해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 요즘 그는 전파에만 만족하지 못하고 자외선까지 넘보고 있다. 자외선을 관측하는 갈렉스(GALEX) 망원경으로 우주 탄생 ... ...
펭귄의 똥은 얼마나 날아갈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핀란드, 헝가리
공동
연구팀에 돌아갔다. 이그노벨상은 모두 10개 분야다.독일 등 3개국
공동
연구팀은 펭귄이 둥지에서 바깥으로 똥을 발사하는 현상을 연구했다. 펭귄은 둥지에서 알을 돌볼 때 볼일을 보러 둥지를 떠나지 않는다. 대신 엉덩이를 둥지 바깥으로 내밀어 똥을 발사한다. 똥이 날아가는 ... ...
고집적 vs 고효율 형광등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잘 보여준다.1938년 4월 12일 제너럴 일렉트릭(GE)과 웨스팅하우스는 ‘마즈다’(Mazda)라는
공동
상표의 형광등을 최초로 시장에 내놓았다. 1893년 니콜라 테슬라가 컬럼비아세계박람회에서 최초의 형광등을 전시한지 45년만의 일이었다. 이들이 형광등을 상품으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은 GE가 오늘날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대형 프로젝트로 연결되었습니다. 또한 문화적인 특성상 일본과의
공동
연구가 서로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Q 지금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적외선우주망원경 개발을 하고 있는 데, 우주망원경에서도 세계적인 경쟁이 되는 것인가요?A 미국이나 유럽 그리고 우리나라와 일본이 연구하는 ... ...
파푸아 언어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섬의 사람들은 언어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들이 1만년 전에 같은
공동
체를 이뤘을 것으로 추측했다. 이 결과는 ‘사이언스’에 발표됐다.연구팀은 이 방법을 아마존의 옛 언어를 연구하는데 적용할 계획이다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관련 법률이나 규제가 다르기 때문에 허브마다 특성을 충분히 살리면서 인력이나 장비를
공동
으로 이용하자고 각국 주요 연구팀과 합의했다. 현재 미국과 영국이 서울 다음의 허브 설립지로 거론되고 있다.결국 서울 허브가 각국 줄기세포허브의 국제본부가 되는 셈. 서울 허브는 연구자들에게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김 교수가 미국 애리조나대 자이글러 교수, 오스트리아 케플러대 프레이호퍼 교수와
공동
으로 쓴‘모델링과 시뮬레이션 이론’(Theory of Modeling and Simulation)은 지난 2001년 미국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에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분야 베스트셀러에 오르기도 했다. 그는 “시뮬레이션을 공부하기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뜻한다 단백질체를 연구하는 분야가 바로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다NASA와 NASDA(현 JAXA)가
공동
으로 진행한 우주왕복선 유인 실험모듈 설치 및 우주실험 프로젝트 NASDA에서는 35개의 실험을, NASA에서는 7개의 실험을 지원하여 모두 44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18, 19세기는 오토마톤(Automaton)의 전성기였다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