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의 모든 것에 도전한다 EADS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한국 최초의 정지궤도 다목적 위성 ‘통신해양기상위성 1호’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이 위성은 고도 3만6000km의 정지궤도에서 통신서비스, 기상관측, 해양 관측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유럽 최대 위성 전문업체 아스트리움은 유럽우주국(ESA)과 함께 화성탐사선 ‘마스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만성패혈증으로 죽고 말았다. 헤르츠가 좀더 살았다면 1909년에 마르코니와 노벨상을
공동
수상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하지만 지금 헤르츠의 이름은 전파의 주파수 단위인 헤르츠(Hz)로 사용되면서 영원히 기려지고 있다.헤르츠는하인리히 헤르츠는 1857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유명한 법률가의 아들로 ... ...
한국 고래 잡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밝혔다. 이번 총회에서 한국, 북한, 중국, 일본, 러시아 5개국은 밍크고래 자원을
공동
으로 조사하기로 합의했다.고래 수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일부 지방자치단체나 환경단체들은 고래 관광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이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미 호주나 아르헨티나 등에서는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바퀴 반 돌면서 6년째 임무를 다하고 있다. 아리랑 1호는 우리 기술력이 부족해 외국과
공동
으로 개발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2호는 국내 기술진의 주도로 개발됐다. 그만큼 한국의 우주기술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게 된 것이다.그 중에서도 아리랑 2호의 가장 큰 자랑거리는 ‘눈’이다. 아리랑 ... ...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마인드스톰은 덴마크의 레고 그룹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페퍼트 교수팀과 10여 년의
공동
연구로 개발한 로봇 조립 교재로, 1997년 미국에 처음 소개된 뒤로 어린이들부터 기계공학 전공자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사랑을 받은 제품이다. 먼저 레고 브릭(brick)으로 로봇의 뼈대를 조립한다. 그리고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그의 죽음과 관련해 온갖 억측이 난무한 것은 사인이 베일에 쌓여있기 때문이다.올해초
공동
연구팀은 이 어린 비운의 왕의 얼굴 복원에 나섰다. 과학자들은 먼저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고화질로 된 그의 미라 이미지 1700여컷을 촬영했다.촬영된 이미지는 복원 자료로 활용된다. 복원작업에는 지난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NASA)과 에어로스페이스사는 비행기의 블랙박스와 비슷한 '우주선 블랙박스'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이 블랙박스는 우주선 사고가 일어났을 때 재난상황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제작된다.미오키나아제라고도 한다 생체 내에서는 근육 수축 같은 일을 할 때 ATP 속에 있는 에너지를 경제적으로 이용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 정신분열 전문치료 클리닉. 이곳에서는 연세대 김재진 교수와 한양대 김인영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가상현실 인성재활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난치병 중 난치병인 정신분열병은 정교한 치료법이 요구된다. 환자의 빠른 사회 복귀를 위해 제시되고 있는 치료 방법이 바로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개발했고 여기에 양 교수팀이 기계공학 시스템을 결합시켰다. 이렇게 세 교수팀이
공동
연구를 시작하면서부터 3차원 나노조형기술이 완성된 것이다.3차원 나노조형기술을 정보 저장매체에도 응용하면 지금까지 2차원 평면 위에 정보를 담았던 CD나 DVD와는 차원이 다른 대용량 매체가 실현 가능하다.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루기 시작했다. 1990년대 인터넷은 월드와이드웹을 만나 네티즌(누리꾼)이라는 새로운
공동
체를 탄생시켰다. 1999년에는 인터넷 이용량이 100일마다 2배씩 늘어났다. 컴퓨터가 만들어낸 ‘디지털 혁명’이 절정에 달했다.디지털 혁명을 설명하고 예상하는 법칙들도 잇달아 등장했다. 근거리 통신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