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d라이브러리
"
종
"(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 물고기 '캐스퍼'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피부를 반짝거리게 하는 피부색소가 없고, 네이커는 검은색 피부색소가 없다. 이 두
종
을 교배한 결과 노란색 피부색소만 지녀 몸 속이 들여다보이는 투명 제브라피시가 탄생했다. 이 제브라피시에는 유명한 애니메이션 유령 캐릭터 ‘캐스퍼’의 이름을 붙였다.화이트 박사는 형광 처리한 피부암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한다.양서류는 변화하는 생태계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군으로 환경지표
종
으로도 취급되는 생물군이다.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가 유기적으로 살아가는 지구를 가꾸는 일은 우리 모두의 의무다 ... ...
로봇과 스피커,
종
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이렇게 멋진 파란 하늘 위로~ 나르는 마법 융단을 타고~”. 가수 자우림의 히트곡 ‘매직 카펫 라이드’의 첫 소절이다. 인하대 기계공학과 김재환 교수 ... 김 단장은 “지난 10년보다 앞으로 10년이 더 기대된다”며 “세계에서 최초로 ‘마법
종
이’를 꼭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예정이니 아직은 예고편일 수도 있다. 역자는 동식물의 이름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종
과 가장 가깝게 바꿨고 파브르의 개성 있는 문체는 맛깔나게 살려 번역했다. ‘한국판 파브르 곤충기’를 만들겠다는 의지로 지치는 줄도 몰랐단다.인간 세상과 마찬가지로 곤충의 세계도 살기 위한 투쟁으로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150명의 침 냄새를 맡고 결핵에 걸렸는지 알아 낸다. 참고로 사람은 현미경을 이용해 하루
종
일 20명 분의 결핵균을 찾아낸다.맛을 보는 능력도 뛰어나다. 쥐는 여러 가지 맛 중에서 쓴맛을 느끼는 데 탁월하다. 사람은 쓴맛을 느끼는 유전자가 25개로 밝혀졌지만 쥐는 35개나 된다. 보통 독이 든 음식이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먹는다. 몸전체가 둥그런 모양이다. ●금개구리 밝은 녹색을 띤 금개구리는 멸
종
위기
종
으로 보호받고 있다. 울음주머니가 없어서 큰 소리로 울지 못한다.아름다운 태안을 지켜 줘~솔직히 이야기하면 지금까지 나는 태안을 그저 겨울에 머물다 가는 곳으로만 생각하고 있었어. 그런데 이번에 자세히 ... ...
여성의 남성 취향도 유행타나?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올봄 여성 패션의 유행은 노랑, 초록의 화려한 원색의 물결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여성의 남성 취향도 유행이 있을까. 최근 새를 대상으로 한 ... 대한 선호도만이 어느 정도 일관성을 유지했다”며 “암컷의 취향이 변덕스러운 이유는
종
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해석했다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야행성인 나방이 활동하는 시간 중 가장 기온이 높은 시간은 해가 진 직후다. 해가 하루
종
일 데워놓은 공기의 열기가 아직 고스란히 남아있기 때문이다.세레나데 연주를 마친 수컷은 죽음을 맞는다. 이들은 죽음을 맞기 전 비교적 기온이 높은 계곡으로 모여든다. 3월의 계곡에 가득한 겨울자나방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위해 진화시킨 뇌의 회로인 셈이다. 페라리 교수는 “이번 발견은 영장류 이외의
종
에서 처음 확인한 거울 시스템”이라며 “거울뉴런은 척추동물 뇌의 기본 특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맹모삼천지교’의 깊은 뜻유복자인 맹자를 키우며 좀 더 나은 교육환경을 찾아 세 번이나 이사했다는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우스 교수의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들이 계속 축적됐다. 먼저 고세균에 속하는 신
종
이 추가됐다. 흥미롭게도 이들은 하나같이 극단적인 환경, 즉 물이 끓는 100℃ 부근의 고온에서 살아가거나 사해처럼 염분의 농도가 아주 높은 곳에서 발견됐다. 도저히 생물이 살 수 없을 것 같은 조건에서 살아가고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