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스페셜
"
건
"(으)로 총 2,725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발표된 정신분열증 관련 게놈연구를 보자. 정신불열증이 유전적 소양이 크다는
건
일란성쌍둥이 연구 등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정신병 유전자’를 찾는 연구는 오래 동안 금기시돼 있었다. 1970년대에는 정신질환의 생물학적 원인을 거부하는 반정신질환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즉 환경이 나빠 ... ...
나의 몸과 움직임이 비밀번호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6.02
정보가 안전하게 보존된다고 볼 수도 없다.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나라는 해킹에 의해 1억
건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주민등록번호 대신에 생체인식을 도입한다고 해도 마찬가지의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생체정보가 금융거래에 도용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보안업계에서는 ‘편리’와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제목의 기사가 실렸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건
그럴 필요성을 못 느꼈기 때문이다. 2002년 사스가 터지면서 반짝 연구가 진행됐지만 2004년 사스바이러스가 자취를 감추면서 연구동력을 잃어 그 뒤 지지부진해졌다. 그런데 2012년 메르스가 등장하면서 다시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전염병에 걸려 죽은 아이의 숫자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도별로 홍역 발생
건
수(가로축) 홍역이 아닌 전염병에 걸려 죽은 아이의 숫자(세로축)로 점을 찍어보자 역시 양의 상관관계를 얻었다. 연구자들은 이 자료로부터 홍역으로 인한 면역저하 현상이 2~3년 정도 유지됐다는 결론을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모르는 상태다. 그러나 심해의 시료에 들어있는 로키아케오타를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조
건
을 찾는다면 우리는 놀라운 형태의 고세균과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한편 36가지 단백질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해 만든 계통도를 보면 로키3이 로키아케움이나 로키2보다도 진핵생물과 더 가까운 것으로 ... ...
30대 꼬부랑 젊은이, 강직성 척추염 때문
KISTI
l
2015.05.05
를 사용한다. 이는 강직성 척추염 뿐만 아니라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염증성 장질환,
건
선 등에도 사용하는데 모두 자가면역질환으로 근본적인 원인이 면역체계 이상이기 때문이다. 이 주사는 근본적인 원인을 억제하기 때문에 치료효과는 좋다. 통증이 빠르게 호전되고 일상생활로 빠른 복귀가 ... ...
수성 탐사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물이 있을 거라는 사실은 지구에서의 관측에서 이미 예상된 것이었지만 실제 확인하는
건
다른 얘기다.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션 솔로몬은 수성 북극 얼음의 양이 “워싱턴DC를 높이 4킬로미터로 덮을 양”이라고 재치있게 비유하기도 했다. 이 연구결과는 2013년 1월 18일자 ‘사이언스’에 실렸다. ... ...
거대쥐가 생태계를 습격한 사연
KISTI
l
2015.04.28
작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쥐가 작아진 것은 환경과 맞물린 적응의 결과이지, 쥐는 무조
건
작아야 한다는 숙명 따위는 없기 때문이다. 어쩌면 대형 포유류들의 상당수가 멸종 위기에 처해있는 현실은 오히려 쥐에게 있어서는 예전의 영광을 되찾는 기회의 발판이 될 수도 있다. 이에 영국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아니라 일주리듬에 따라 오르내리는데 체온이 가장 높은 시점을 측정하자 자연모방조
건
일 때가 비교군보다 평균 31분 늦었다. 또 시각교차상핵의 뉴런 발화의 전체적인 패턴을 봐도 두 집단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간대가 평균 1.5시간이나 달랐던 것. 이런 차이가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결과적으로는 문제의 본질을 놓쳤고 정치적인 승리는 거두었을지 몰라도 인류의
건
강과 환경을 위해서는 오히려 더 해로운 결과를 낳게 했다는 것이다. 책을 읽으며 필자는 저자의 입장에 100%로 공감할 수는 없지만 나름 타당한 면도 꽤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