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스페셜
"
건
"(으)로 총 2,72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2.19
정교하게 갈아 만든 화살촉 등 현생인류도 만들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되는 정교한 물
건
이 자주 발견된다. 후기석기시대 사람들이 고도의 지능을 가졌다는 뜻이다. 하지만 아프리카 고고학자들은 아직 후기석기시대가 정확히 언제 시작됐는지 근거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 석영에서 나오는 ... ...
국내 최초의 노벨화학상 후보에 오르다
IBS
l
2014.12.16
생각하지 않지만, 때가 되어서 (노벨상 수상 예측 후보로) 선정된 것 같아요. 로또로 된
건
아니니까요(웃음)." 톰슨로이터가 선정한 '올해의 노벨상 수상 예측 인물(화학 분야)'에 국내 최초로 선정된 것을 축하한다는 말에 유 단장 특유의 '직설화법' 답변이 돌아왔다. 무슨 말일까. "우리나라가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주장을 액면그대로 받아드릴 수 없다고 하더라도 아무튼 술이 센 사람들이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숙취와 알코올 중독은 반비례 관계가 있다고 한다. 즉 숙취가 심한 사람일수록 알코올중독에 빠질 위험성은 낮다고. 워낙 고통스럽다보니 ‘내가 다시 술을 마시면 성을 간다’며 ... ...
스티븐 호킹, 그리고 ‘만물의 이론(The Theory of Everything)’
과학동아
l
2014.12.12
올린 특이점 이론이 대표적이다. 그가 온몸이 서서히 마비되는 루게릭병 진단을 받은
건
케임브리지대에서 박사과정에 다니던 21세의 젊은 나이였다. 2년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은 호킹 박사는 당시 여자 친구였던 와일드와 연락을 끊어버린다. 하지만 와일드는 좌절한 호킹 박사를 일으켜 세우기 ... ...
빅데이터 덕분에 흥미진진해지는 세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융합하고 연계해야만 효율을 높이고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4개의 조
건
을 모두 만족시켜야만 빅데이터 기술이 완성된다. 데이터의 선별과 정보 처리의 방식뿐만 아니라 결과에 대한 분석까지 어느 하나 쉬운 것이 없다. 그러나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원인이자 현상이 되는 수많은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완벽했다. 즉 보다
건
강한 세포로 이뤄진 개체를 만들기 위한 솎아내기였던 셈이다. 다만
건
강한 세포가 어떻게 주변의 시원찮은 세포의 존재를 감지해 이들을 죽음으로 몰아내는 신호를 내보내는 지는 아직 모르고 있다. ●구성원 적체되면 조직의 암이 돼 이에 앞서 학술지 ‘네이처’ 5월 2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언어활동에 관여하더라도 일부분일 뿐 인간의 언어가 거울뉴런 덕분에 진화한
건
아니라는 말이다. 필자가 게을러 지난 9월 책을 사놓고 팽개쳐뒀다가 이번 에세이를 준비하며 부랴부랴 좀 읽은 게 전부라 제대로 평가할 수는 없지만, 학술지 ‘네이처’ 7월 31일자에 실린 샌디에이고 ... ...
[생활 속의 기술] 제습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KOITA
l
2014.12.01
여름이 괴로운 이유는 더위도 한 몫 하지만 축축한 공기가 더 고역이다. 햇볕이라도 나면 습기가 금방 마르니 다행이다만 비라도 오면 덥고 습한데 물기가 마르지는 않으니 ... 뜨거운 바람을 불어주기 때문에 빨래가 더 쉽게 마른다. 세탁기 안에 있는 빨래
건
조 기능도 같은 원리다.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된 게 현대인 다수의 자화상이다. 미국 메이요클리닉의 제임스 레바인 교수는
건
강을 위해서 앉아있는 시간을 줄여야한다는 주장을 담은 책 ‘Get Up!’을 지난 7월 출간했다. - Amazon.com 제공 레바인 교수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내놓은 제안 가운데 하나가 서서 일하는 방식이다. 즉 높낮이를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어떻게 그 먼 거리에 있는 별의 질량을 알 수 있을까. 물론 별의 질량을 직접 측정하는
건
불가능하고 관측된 별의 밝기와 거리를 바탕으로 이론(모형)에 맞춰 계산한 결과다. 즉 먼 거리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이 꽤 밝다면 질량이 엄청나게 크다는 말이다. 태양 질량의 수십 배인 별의 밝기는 태양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