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스페셜
"
계속
"(으)로 총 2,45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기반기술을 갖고 있으면 회사가 어려워져도 그 기술을 필요로 하는 다른 회사가 투자를
계속
하게 되지요. 우리나라의 바이오 벤처 투자 정책도 방향 수정이 필요합니다.” 이 교수는 또 “유도만능줄기세포(iPS·Induced Plenipotent Stem cell)의 초기 제작기술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가 분화될 확률은 100 ... ...
“BT는 ‘버티기’의 줄임말…대기업이 힘 실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07
때문이다. 성 교수는 “2006년 한화에서 지원하던 스프레이형 인플루엔자 백신 연구를
계속
했더라면 2009년 신종플루가 유행했을 때 더 빨리 백신을 제공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신약 개발은 선제 연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삼성이 바이오제약 산업에 진출하겠다고 선언한 것에 대해서도 ... ...
“BT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 갖추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10.12.20
많지 않아 일자리가 적고, 사람은 일할 기업이 없으니 진학을 기피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계속
된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일부 대학에서는 교수들이 대학원생을 뽑지 못 하기도 한다”고 귀띔했다. 김 교수는 “BT 경쟁력을 키우려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 ...
“제네릭 약가 보상 인하로 국내 업계 간 M&A 유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0.12.14
독거노인, 산각벽지 주민 등을 대상으로 한정해 의료법 개정을 추진했지만, 국회에서
계속
발목이 잡혀 있는 상태다. 가장 큰 이유는 지역 개원의들의 반발이다. 장기적으로 U-헬스가 도입되면 우수한 서비스망을 구축한 종합병원이 환자들을 독식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박 국장은 ... ...
“생물자원전쟁,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때”
동아사이언스
l
2010.09.30
주고 현지인 연구자에게 개발 기술을 전수하는 등 신뢰를 얻어 왔습니다. 이를 10년 동안
계속
하며 조금씩 계약 조건을 완화해 MOU를 맺는 단계까지 온 것이죠” ● ‘생물자원전쟁’ 이해해야 주도권을 잡는다 박 연구원은 2004년 ‘생물자원보존기관 국제학회(ICCC-10)’를 잊지 못한다. 당시 한국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높여 식량문제 해결이 목표 정 단장은 해외 식물자원을 모으는 일을 앞으로도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이미 20개 국가와 협력을 맺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내일 퇴임한다고 하면 오늘까지 연구실에서 연구하고 싶은, 평범한 연구원이 꿈”이던 그는 다시 연구원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다. ... ...
“국토의 64%는 산림, 생명과학 연구의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10.05.25
최대한 발휘해 국가적으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유관 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계속
해서 추진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 기업과 손잡고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개발 “기업이 산림에 투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임업 등과 관련된 기업 뿐 아니라 모든 기업이 대상입니다. 소비자들에게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5.06
ImmunoGen)도 작은 프랑스 회사와 5년 동안 협업했다. 작은 회사에 신약 후보물질을 맡기고
계속
자금을 투자하며 이들이 어떻게 신약으로 개발해나가는지 배우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노하우는 있지만 돈은 없는 작은 회사와 협업해 신약을 개발하는 단계를 배우는 것도 좋은 방법 같다. ▽정영춘=맞다. ... ...
“생명공학 신속함 갖춰야… IT와 합하면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0.01.11
삼을 만한 굵직한 성과를 내 놓지 못했다”면서 “2단계 넥스트 IT 형태의 연구는
계속
시행하고 장려되어야겠지만 또 다른 접근방법 역시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기존의 공동연구의 틀을 넘어선 ‘신융합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 ...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쉽게 실험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하지만 돼지는 번식력이 좋기 때문에 일정 수가 넘으면
계속
해서 개체가 늘어난다. 게다가 미니돼지는 장기의 크기나 무게가 사람의 장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인공장기를 연구하는데도 많이 쓰인다. 생명연 오창캠퍼스는 이르면 2년 뒤 미니돼지와 영장류로 구성된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