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인식이 불가능하다. 얼굴 인식 과정은 다소 복잡하다. 우선 사진에서 얼굴의 주요
부분
을 분석해 3D 그래픽으로 재구성한다. 이를 정면을 바라보는 각도로 변환한 후, 다시 실제 사진으로 만들어 낸다. 촬영된 각도에 상관없이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가공된 사진을 기존의 사진과 ... ...
먹는 걸로 장난치면 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같은 물건으로도 독특한 그림을 그려냈어요. 두 개의 자물쇠를 열어 가로로 눕힌 뒤 고리
부분
을 뿔로 만들면 멋진 황소가 탄생하지요. 호루라기로 만든 헤어드라이어로 한 여성이 긴 머리를 흩날리며 말리는 그림을 그리기도 했어요. 이런 그림을 어떻게 그리는지 궁금하다고요? 빅토르 누네스는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수 있지요. 무게중심이 낮아져 안정된 상태에서 움직이기 때문이에요.발 안쪽의 넓은
부분
으로 공을 밀어내는 ‘인사이드 드리블’은 속도는 느리지만 가장 안정적이에요. 발을 자유자재로 안으로 굽히면서 공이 움직이는 방향을 바꿀 수 있어요. 발등 바깥쪽으로 공을 밀어내는 ‘아웃사이드 ... ...
[과학뉴스] 3년만의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4분부터 시작된다. 이 때는 반영식(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감)이 시작되며 본격적인
부분
월식은 한 시간 뒤인 오후 6시 14분쯤부터 진행된다. 개기월식은 7시 24분부터 관찰할 수 있으며, 절정은 7시 55분쯤이다.서울 용산에 위치한 과학동아천문대에서는 개기월식이 이뤄지는 시간 동안 밴드가 ... ...
[과학뉴스] ‘글루텐 프리’만으로는 부족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철분 섭취하기’ ‘가열하지 않은 식물성 기름 먹기’ 같은 식이요법을 병행하면 이
부분
이 개선됐다. 예를 들어 올리브유를 꾸준히 섭취하면 소장에서 탄수화물 흡수를 방해해 혈당이 떨어졌다. 이 연구 결과는 ‘의학식품저널’ 9월호에 발표됐다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경우 대
부분
인구도 정체 또는 감소 국면이기 때문에 딱히 긴박한 필요도 없다.현재 대
부분
의 나라들은 조금 다른 이유에서 초고층건물을 선택한다. 도시의 랜드마크로 만들거나 긴밀한 주거, 업무 환경을 조성해 도시 특유의 네트워크와 창발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점에도 일부 의문이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실험한다. 하지만 이런 접근방법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뇌는 다른 신체
부분
과 달리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 하에서 기능한다. 세포하나만 놓고서는 제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 또 공학자들은 뇌파를 기록하는 뇌전도(EEG) 기기나 기능적자기 공명영상(fMRI) 장치 등을 활용해 뇌를 연구하곤 하지만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아무리 추워도 견딜 수 있다고 자신을 세뇌한다. 지난 겨울을 되짚어 보며 부족했던
부분
을 보완하려는데…. 기억력 좋은 독자 여러분들은 지금쯤 깨달았을 거다. 지난 겨울은 안 추웠다! 그렇다면 올해는…?지난 겨울을 잠시 되돌아보자. 우리나라는 참 따뜻(?)했다.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하고 있다.SNP★는 사람이 가진 30억 개의 염기서열 가운데 다른 사람과 차이가 나는
부분
을 일컫는다.수학 유전자 찾기의 문제점과 한계는?미국과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수학 유전자 찾기 프로젝트를 두고 많은 유전학자들은 의미 있는 성과를 내지 못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이런 연구를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것이다.네안데르탈인의 얼굴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위는 코를 중심으로 한 얼굴 중간
부분
이다. 코가 커지고 양쪽의 부비강도 커지면서 코 부위가 앞으로 튀어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의 이런 코 생김새에 대해서는 가설이 많은데, 빙 하기의 혹독한 추위를 견디기 위해서라는 가설이 그럴 듯 하다. 이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