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때문이다. 신약 개발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다. 많은 약물이 단백질의 특정
부분
과 결합해 질병을 치료하기 때문에 단백질의 정확한 3차원 구조를 알아야 한다. 그러나 몸 안에 있는 단백질을 밖으로 꺼내면 중력 때문에 엉뚱한 모양이 되거나 심지어 쉽게 깨져버리곤 한다. 우주의 무중력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정의하는 데 유용한 ‘정칙성 구조 이론’을 만들었다. 함수에서 그래프가 뾰족한
부분
을 ‘특이점’이라고 부르는데, 특이점에서는 미분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자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물리학자들이 사용하는 방정식 중에는 미분이 불가능한 특이점을 해로 갖는 경우가 더러 있다. 이는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아프리카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다. 왜 WHO가 비상사태까지 선언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EPILOGUE. ... ...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신경을 3차원 지도로 그리고 있다. 게임 속에서 빈칸에 색을 칠하듯 신경세포를 잇는
부분
에 색을 칠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신경세포의 연결구조가 3차원 이미지로 만들어진다. 승 교수는 “인공지능보다 인간의 집단지성이 훨씬 낫기 때문에 이 게임을 만들었다”며 “3차원 뇌지도가 만들어지면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공법을 이용했다. 조사단은 이 수평 그라우팅 공법이 제대로 되지않아 깎지 말아야할
부분
의 흙까지 쓸려 내려왔다고 보고 있다. 게다가 시공사는 굴착기 커터를 바꾸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동안 굴착을 중단했는데, 이것도 영향을 주었다는 의견이 나온다. 공사를 쉬는 동안 칼날과 지반 ... ...
“본성과 교육, 무엇이 더 강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기고했으며 이 기사로 2000년에 전미 잡지편집자협회 보도
부분
을 수상했다. 기사에 미처 담지 못했던 이야기를 담은 책이 바로 ‘이상한 나라의 브렌다’다.콜라핀토는 머니 박사가 ‘성 역할은 양육에 의해 결정된다’는 자신이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행했던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교과과정이 국제 기준이 되면서 지금처럼 굳어지게 됐습니다. 우리나라 건축학과도 대
부분
5년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구체적으로는 한 학기 동안 직접 건축물을 만들어 보는 ‘건축설계스튜디오’ 과목 때문입니다. 졸업하려면 이 과목을 총 10번 들어야 합니다. 그런데 한 학기당 하나밖에 못 듣기 ... ...
만화책에 목소리를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웹툰작가 ‘호랑’은 2011년 미스터리 단편 ‘옥수역 귀신’으로 일약 스타작가로 떠올랐다. 피 흘리는 손이 모니터 앞으로 튀어나오는 ... 앞서 나가 있습니다. 뭔가 부족해도 일단 뛰어나가십시오. 창조경제타운은 그 부족한
부분
을 채울 수 있도록 수많은 멘토 집단이 쉼 없이 도와줍니다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화석이 나왔다고 했다. 일부는 작년에 발굴해 몽골고생물학센터에 가져갔고, 남은
부분
을 올해 발굴하는 중이었다. 허벅지뼈는 길이가 1.5m로 몸 전체 길이는 약 15~20m로 추정됐다. 이 관장은 “이 지역에서 용각류 공룡이 나온 적이 없어 신종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중간중간 질문하고 사진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생태지도를 만든 이유는 두 가지다. 명 소장은 1997년부터 10년간 독도를 연구하다가 빠진
부분
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독도가 예전에 이랬는데 지금은 이렇게 바뀌었다고 말하려면 기준이 있어야 하잖아요? 그런데 그 기준을 제대로 만들지 않았던 거예요. 그래서 새로 온 연구자도 독도 바닷속이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