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이자 인류가 발자국까지 남긴 달에서도 밝히지 못한
부분
이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하지만 달은 결코 만만한 대상이 아니다. 38만km 떨어진 그곳에 한국은 아직 작은 탐사선 하나 쏴 보내지 못했다. 하지만 곧 탐사선을 보낼 날이 올 것이다. 한국이 다음 역할을 성공적으로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핵심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바로 이
부분
에서 수학자들이 활약하고 있다.간단히 오른손을 움직이는 상상할 때와 왼손을 움직이는 상상할 때를 구분한다고 가정해 보자. 우선 사용자가 오른손과 왼손을 움직이는 상상을 하는 생체 신호를 각각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기술을 일컫는다. 생명과 관련된 현상은 인공생명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학습과 관련된
부분
은 인공지능 개념으로 봐야 한다.따라서 영화 속에서 옵티머스 프라임이 인류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움직이는 것은 모두 인공지능에서 비롯된 결과다. 범블비가 주인공을 지키고자 지구에 ... ...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각각 연결한다. 이때 두 개의 작은 원환면은 서로 엇갈리게 건다.➍ 원환면의 잘린
부분
에 새로운 원환면을 붙이는 과정을 무한히 반복한다. 눈치 빠른 독자들은 알아챘겠지만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는 프랙털 도형이다. 작은 조각이 전체와 비슷한 모양을 가진다. 그런데 이보다 더 중요한 수학적 ... ...
[과학뉴스] 화성 탐사에는 비행접시가 딱?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가 비행접시 모양의 새로운 비행체 ‘저밀도 초음속 감속 장치(LDSD)’를 개발해 시험비행에 나선다. ... 타고 온 비행접시처럼 생겼다. 화성대기권에 진입하면 옆면에 부착된 방열판(숫자 적힌
부분
)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면서 공기저항을 크게 한다 ... ...
귀신 여러분~찍습니다~김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겁니다. 과학적으로는 가위눌림을 수면마비 증세로 설명합니다. 쉽게 얘기하면 잠에서
부분
적으로 깨어나는 겁니다. 뇌는 깨어서 앞도 보이고 소리도 들리는데, 몸은 깨어나지 못해서 움직일 수가 없습니다. 환각이나 환청을 겪기도 하고요. 이때의 기묘한 경험을 귀신으로 착각하는 겁니다. 역시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보통 공간기하의 원리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❷ 이런 공간의 곡률은 한
부분
에서 다른
부분
으로 파동처럼 전해진다.❸ 관측할 수 있는 물체의 운동은 이런 곡률의 변환 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다.❹ 물질세계에는 이와 같은 변환 현상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지금 생각해 보면 어떻게 해서 ... ...
[수학뉴스] 비누막에서 찾은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터지는 지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다.그 결과 클라인 병의 목
부분
과 같이 비누막 표면의 넓이가 급격히 좁아지는 지점에서는 비누막을 구성하는 입자의 이동 속도가 지수함수꼴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곡면의 모양에 따라 비누막이 터지는 지점을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수 있는 범위를 색깔로 구분해 보는 방법이다. 전체적인 경비 구역을 표시한 뒤, 구석진
부분
이 없는지 직선으로 그어 가면서 경비원의 위치와 인원을 조정한다.그리고 또 다른 방법은 ➋번 그림처럼 미술관 평면도를 삼각형으로 분할해 보는 방법이다. ➋번 평면도는 꼭짓점을 기준으로 여섯 개의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차이가 없었다. 데이비드 캐리어 유타대 교수는 “얼굴을 맞았을 때 가장 잘 부러지는
부분
이 턱뼈”라면서 “턱뼈가 강하고 단단하게 진화한 남성이 생존에 유리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실제로 연구진이 싸움으로 다쳐 응급실에 오는 환자를 조사한 결과 70% 정도는 얼굴에 손상을 입었고, 이 중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