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리 기술로 만든 천리안2A호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아리안-5ECA 발사체에 실린 천리안2A호가 발사됐어요. 발사 약 34분 후, 발사체에서 분리됐고 5분 뒤에는 호주 동가라 지상국과 첫 교신에 성공했지요. 천리안2A호는 2010년 6월에 발사한 천리안1호에 이어 우리나라가 두 번째로 쏘아올린 기상 관측 및 통신 위성이에요. ... ...
- [과학뉴스] 블루투스 전자알약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만들었어요. 약을 정확한 시간에 알맞은 양만큼 제공할 수 있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바로 약을 전달하기 위해서지요. 연구팀은 “이번 실험에서는 돼지에 적용했지만 앞으로 2년 내 사람에게 적용할 계획”이라며 “위산을 이용한 배터리를 개발하거나 외부에서 충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 ...
- [실전! 반려동물] 이구아나야, 왜 줘도 먹지를 못하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얼마 전 한 보호자가 이구아나 한 마리와 함께 병원을 방문했어요. 먹이를 줘도 먹지 않고, 하복부가 점점 부풀어 오르는 것 같다며 진단을 부탁했지요. 손으로 ... 동안 이구아나가 심리적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주변을 어둡게 하고, 병원에서 처방해 준 약과 먹이를 챙겨 줘야 한답니다 ... ...
- [과학뉴스] ‘인사이트’ , 화성의 소리를 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인사이트 꼭대기에 달린 로봇팔은 최대 1.8m까지 펴진다. 임무 기간은 지구 시간으로 약 2년, 화성 시간으로는 1년 40솔(sol·화성의 하루)이다. NASA는 2018년 12월 7일 인사이트가 보내온 화성의 바람 소리를 공개했다. 인사이트는 마이크가 없어 직접 소리를 녹음할 수 없기 때문에 간접적인 방법을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반면, 발자국 화석은 200곳 이상에서 발견됐다. 지질학적 시간으로 약 1억30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 세계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화석들이 많이 발견됐다. 이번에 발견된 진주의 소형 랩터 공룡 발자국을 비롯해 한국은 세계 유일의 두 발로 걷는 익룡의 모습을 보여주는 보행렬,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아폴로 15호 선장은 달 로버를 타고 18시간 동안 약 28km를 이동했다. 길이가 약 1.5m, 무게가 약 200kg인 로버는 접을 수 있고, 총 2명의 우주인을 태울 수 있도록 설계됐다. 바퀴는 전기 모터로 움직였다. ● 1970. 11. 10 원격제어 로봇을 보내다바퀴에 큰 욕조를 얹은 듯한 로봇이 안테나를 세우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시작했다. NASA는 애스트로보틱을 포함한 민간 기업 3곳과 우주개발 공동연구 협약(SAA)을 맺었다. 카탈리스트는 우리말로 ‘촉매’를 뜻한다. 댄 헨드릭슨 애스트로보틱 비즈니스 총괄 부사장은 “NASA의 엔지니어들이 랜더와 로버 개발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며 “단순히 기술뿐만 아니라 ...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현재 가장 빠른 엘리베이터는 1분에 1260m 정도를 움직인답니다. 현재 엘리베이터에는 약 3만 여 개의 부품이 들어가는데,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어져요. 사람이 탑승하는 ‘카’와 카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모터인 ‘권상기’, 카 반대편에서 균형을 잡아주는 동시에 엘리베이터를 들어올리는 ... ...
- Part 1.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115주년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형제는 그 후로도 비행을 3번 더 시도했어요. 그 결과 마지막 네 번째 시도에서 59초 동안 약 260m를 비행했지요. 이 순간 라이트 형제는 자신들이 ‘비행기를 발명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답니다. 첫 동력 비행, 성공 비결은? 라이트 형제의 첫 동력 비행은 비행기의 방향을 직접 조종했다는 ... ...
- [과학뉴스] 2억 개의 흰개미 언덕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펼쳐져 있었어요. 이는 22만km2인 한반도 면적보다 넓답니다. 가장 오래된 흰개미 언덕은 약 3820년 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돼요. 연구팀은 흰개미 언덕이 있는 지역이 ‘카팅가 관목지대’에 있어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다고 추측했어요. 카팅가 관목지대는 우기에는 초록색 잎으로 우거진 나무들이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