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와 채윤이의 마지막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태양의 구조를 알아야 해요. 태양을 구성하는 가장 많은 원소는 수소로, 태양 질량의 약 73%를 차지하고 있어요. 수소의 원자핵은 양전하를 띤 양성자 한 개예요. 그래서 두 수소의 원자핵이 접근하면 같은 전하끼리 반발하는 힘이 발생해 서로 밀어내지요. 그런데 태양 중심부는 엄청난 초고온,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날면 비행기와 공기가 부딪히며 생긴 충격파가 사방으로 동그랗게 퍼져나간다. 만약 비행기가 초음속 비행을 하면 충격파가 흩어지기 전에 여러 개가 합쳐져 폭발적인 소리를 낸다.) 현재 과학자들은 초음속으로 날면서도 소닉붐을 만들지 않는 초음속 여객기를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어요. ... ...
- Part 1.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115주년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형제는 그 후로도 비행을 3번 더 시도했어요. 그 결과 마지막 네 번째 시도에서 59초 동안 약 260m를 비행했지요. 이 순간 라이트 형제는 자신들이 ‘비행기를 발명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답니다. 첫 동력 비행, 성공 비결은? 라이트 형제의 첫 동력 비행은 비행기의 방향을 직접 조종했다는 ...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데 걸리는 시간을 이용해 먹이와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하지. 그래서 나방들은 약 6500만 년 전부터 박쥐의 수색에 대비해왔어. 박쥐의 초음파를 미리 알아채고 수많은 방어 전략을 발전시켰지. 그중 하나는 최대한 박쥐의 초음파를 흡수하는 거야. 초음파의 반사를 줄여서 박쥐에게 되돌아가지 않도록 ... ...
- [시사과학뉴스] 여전히 하늘은 매우 나쁨! 삼한사미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이렇게 만들어진 이동성 고기압은 날씨가 맑고, 바람이 세지 않은 게 특징이지요. 바람이 약하니 미세먼지가 멀리 퍼지지 않고 우리나라에 머물러요. 또, 큰 일교차로 밤에서 아침 사이에 안개가 발생하면, 대기 중의 습기는 초미세먼지 입자들을 뭉쳐 더 큰 미세먼지를 만든답니다. 여기에 북서풍을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아니라 실제 바다에서 운항할 자율운항선박을 짓고 있어요. 2019년엔 선원이 탄 채로 약 57km 정도 노르웨이 연안을 운항할 예정이고, 2020년부터 완전히 무인으로 운항할 계획이랍니다. ● “자율운항선박은 어디로든 갈 수 있어요!”건보 하트링 미드버스(콩스베르그 커뮤니케이션 총괄 부사장 ... ...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프록시마-b와 트라피스트-1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진 곳이에요. 만약 이곳에 지적 외계 생명체가 있다면 지구에서 쏜 레이저를 보고 우리 지구인의 존재를 알게 될 거예요. 또, 이 두 레이저는 모두 최대 2만 광년 떨어진 곳까지 도달한답니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있어요. 강한 ...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가장 오래된 별자리 기록은 이라크 남부에서 발견된 점토판에 남아있어요. 기원전 약 1700년에 이곳에 살던 고대 바빌론 사람들이 밤의 신에게 올리는 기도문에 별자리를 언급한 것이지요. 하지만 바빌론 사람들만 별자리를 만든 것은 아니에요. 이집트, 인도, 중국, 잉카를 포함한 전세계의 ... ...
- Part 3. 실크로드 바다 아래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해저터널이 해결해야 할 문제 지금까지 지어진 해저터널은 주로 수압을 견디면서, 연약한 지층을 무너뜨리지 않고 뚫는 일이 가장 큰 숙제였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6년 12월 20일 개통한 유라시아 해저터널이다. 유라시아 해저터널은 터키 이스탄불에 있는 해저터널로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수학적으로 다시 정리했어요. 한 등급 올라갈 때마다 지구에서 관측하는 별의 밝기는 약 2.5배씩 밝아지지요. 하지만 겉보기등급은 실제 별의 밝기와는 차이가 있어요. 별이 아무리 밝아도 눈에 보이는 밝기는 지구와 떨어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이죠. 이에 모든 별이 일정한 거리에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