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고]목숨을 건 체험기...아마존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연구자들은 철저하게 길을 정하고 탐사에 나선다. ‘선 조사’라고 불리는 방법에 따라 약 100m 거리의 정해진 길을 걸어간다. 이때 시야가 닿는 모든 곳을 샅샅이 관찰하며 생물을 채집한다. 또 ‘방형구 조사’라고 불리는 방법에 따라 가로 10m, 세로 10m로 정해진 지역 안을 꼼꼼히 돌아다니기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하지만 당시에는 이 현상이 무엇인지, 왜 일어나는지 이해하지 못했어요. 그로부터 약 2000년이 지난 1600년경, 영국의 물리학자인 윌리엄 길버트는 탈레스의 발견이 전하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어요. 전하를 띤 두 물체가 가까이 있을 때 서로 다른 전하를 띤 물체는 잡아당기고(인력), 같은 ... ...
- [과학뉴스] 공중 스턴트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발표된 스턴트로닉스는 스틱맨의 발전형으로, 사람처럼 생긴 휴머노이드 로봇이에요. 약 41kg의 무게로, 머리와 팔다리를 실시간으로 움직일 수 있지요. 또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저 센서도 갖추고 있어서 정확한 타이밍에 자세를 바꿀 수 있어요. 이러한 능력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제거하고 나면 물을 뿜어서 바다 밑바닥을 판 뒤 케이블을 설치하지요. 한 시간에 약 200m의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답니다. 원격 조종 수중 로봇은 케이블이 고장 났을 경우에도 큰 역할을 해요. 로봇이 전파를 이용해 끊어진 위치를 찾고, 고장 난 케이블을 잘라 배로 운반해요. 그러면 엔지니어들이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파란 눈을 한 여름 손님 긴꼬리딱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게 특징이에요. 5월이면 한국을 찾아 번식을 하고 떠나는 여름철새지요. 알 3~5개를 낳아 약 2주 동안 품은 뒤 새끼가 태어나면 8~12일 동안 돌보아요. 그러다 8월이 되면 동남아시아 쪽으로 가서 겨울을 보낸답니다. 긴꼬리딱새는 원래 일본식 이름인 ‘삼광조’라 불렸어요. 울음소리가 일본인에게 해 ... ...
- [가상인터뷰] 거미가 하늘을 날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바람이 잔잔하게 불 때만 하늘을 나는데, 잔잔한 바람은 거미를 날려 보내기 너무 약하거든. 알리: 그럼 비행의 또 다른 비밀이 있어?지난 7월에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의 에리카 몰리교수팀이 거미가 지구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비행에 사용한다는 연구를 발표했어. 지구의 대기는 양전하를, 땅은 ... ...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방법을 사용하면 된답니다.Q식충식물이 벌레를 먹지 않으면 어떡하죠?만약 키우는 식충식물이 벌레를 많이 잡지 못하는 것 같다면, 식물 화분을 데리고 산책을 해 보세요. 늦여름처럼 날벌레가 많은 계절에 화분을 밖에 데리고 나가면 식충식물이 벌레를 잡는 모습을 볼 수 있답니다.Q식충식물을 ... ...
- Part 2. 다이아몬드는 지구 내부의 타임캡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계속 보시려면? Intro. 보석부터 지구의 타임캡슐까지, 다이아몬드의 활약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Part 2. 다이아몬드는 지구 내부의 타임캡슐?!Part 3. 우주에도 다이아몬드가 있다!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Part 5. 다이아몬드 합성 공장을 가다 ... ...
- [현장취재 1] 2018 첫 특별탐사,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자그마하답니다.”하늘소는 ‘딱정벌레목 하늘소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전세계에 약 2만 5000종이 살고 있어요. 이중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하늘소만 해도 350종이나 되지요.이승현 연구원은 “워낙 종이 다양해서 연구원들이 모든 종을 직접 탐사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이라며 “지사탐 ... ...
- Part 3. 흰발 농게, 새집으로 이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있도록 Z 모양의 모래포집기를 설치했지요. 약 10개월 후 흰발농게의 수를 조사한 결과, 약 50개체가 새로 유입된 것을 확인했답니다. [인•터•뷰] 해양생물의 조각난 서식지를 이어주고 있어요! 이상규(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흰발농게와 같은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