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가스 방출이 모래시계처럼 뻗어나가며 그 길이가 12만AU(1AU는 태양과 지구의 평균거리로 약 1억4960만km)에 이른다는 사실도 계산했다. 연구에 참여한 라스 아크 나이만 ALMA 천문대 연구원은 “중심에 있는 적색거성은 점점 작아지고 더 뜨거워져서 주위의 성운을 데우고 더 밝게 만드는 행성상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0.4mg을 섭취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게다가 신경관이 닫히는 시기는 수정 후 약 한 달이 지났을 때인데, 대부분의 여성들은 이때 임신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임신임을 확인한 뒤 엽산 보조제를 챙겨 먹어봐야 이미 늦은 셈입니다. 엽산 보조제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낀 미국 정부는 가임기 ... ...
- [뉴스 포커스]수확의 계절, 수학하고 놀자! 제4회 광양수학축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학생, 학부모가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수학을 즐기는 행사로, 올해는 약 2000명이 참가해 ‘멩거스펀지 열쇠고리’, ‘펜토미노로 조각 완성하기’, ‘라틴방진으로 컵받침 만들기’ 등 총 49개 프로그램을 체험했어요. 가장 인기를 끈 프로그램 중 하나인 ‘사이클로이드 ... ...
- part 3. 야구 보며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각 경기장에서 경기가 있는 날과 경기 시간을 데이터로 이용했죠. 그 결과 24.8일 동안 약 4989km를 이동하는 경로가 최적의 답으로 나왔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집념의 야구팬들이 이 어려운 일을 먼저 해냈습니다. 2008년 조시 로빈슨은 자동차로만 30곳의 야구장을 여행하는 일정을 짜서 26일 만에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조금 특별한 아벨 군을 고안했죠. 이때가 19세기 초반이니까 최석정이 살았을 때보다 약 100년 뒤입니다. 그런데 최석정이 남긴 라틴방진이 아벨 군의 덧셈표와 같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죠. 아쉬운 점은 별다른 설명이 없어서 최석정이 아벨 군을 알았다는 증거가 없다는 거예요. 하다못해 이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교실에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앉아 노트북을 열고 있는 모습이 낯설다. ‘쉬는 시간이라 게임을 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그 순간 마음 ... 관심이 많은 김 군은 “질병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서 분석한 뒤 조금 더 효과적인 약을 만드는 연구를 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00시간 수업 중에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만들었다. 이 부장은 “한 가지 주제로 학기당 약 30시간 동안 탐구 활동을 하는 것”이라며, “학교는 물론 다른 영재교육원에서도 하기 힘든 경험”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학 입시에서는 영재교육원 등 학교 밖에서 활동한 내용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익숙하지 않은 질병을 옮길 수 있을 거예요. 이때 가장 취약한 건 바로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에요. 이런 문제 때문에 남북 어린이들의 질병 패턴에 관심을 갖게 됐고, 통일의학까지 이어지게 됐어요.Q.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남북한 의료 교류를 무조건적인 남한의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회수됐다. 민간 최초 하이브리드 과학로켓 우리새-2호는 길이 2.2m, 지름 0.2m, 무게 약 12kg인 소형 과학로켓이다. 권 교수팀이 서정기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책임연구원팀과 공동으로 2014년부터 4년에 걸쳐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로켓은 로켓의 추진기관을 개발하거나 무중력 실험, 대기질 측정 등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은 “영장류를 이용한 연구 기반을 확립해 노화와 뇌과학, 신약개발, 재생의학 등 전임상 연구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며 “국내 의생명과학기술을 발전시키고 바이오산업을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 국민 보건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연차별로 ... ...
이전2502512522532542552562572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