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투스교육] 정의와 불평등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지역 주민 사이의 갈등이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져 사회 통합이 저해될 수 있다. 성장 거
점
개발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선정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이에 따른 성장 이익을 다른 지역으로 파급해 효과를 확산하는 개발. 불평등 완화 노력능력이나 업적에 따른 어느 정도의 불평등은 개인의 성취 ... ...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해외 기술에 의존했던 자유로운 모양의 초고층건물 설계 기술을 국내 기술로 확보했다는
점
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초고층보다 높은 상상 5] 수직 묘지인구가 증가하면서 묘지를 만들 공간이 부족해지고 있다. 오른쪽은 초고층건물의 공간 활용성을 이용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상대적으로 많은 중거리 슛 득
점
과 골키퍼의 미숙한 볼 처리가 나오며 예상했던 다득
점
경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FIFA 입장에선 공인구 제작의 의도대로 결과가 나온 셈이겠죠? 조별 예선이 모두 지나고 본격 토너먼트가 남은 지금, 2018 러시아 월드컵을 장식할 텔스타 18이 과연 어느 팀을 웃고 울게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얻어 2013년 어떤 공간에 있는 도형을 평균 곡률 흐름을 이용해 축소할 때 쓸 수 있는 특이
점
수술법을 고안했습니다. 평균 곡률 흐름이란 평균 곡률에 의존하도록 리만 다양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걸 말합니다. 같은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서검교 숙명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브렌들 교수가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말했다. 다른 지역의 애완용 무당개구리에서 아시아의 항아리곰팡이 균주가 발견된
점
이 그 근거였다.결국 한국에서만 발견된 항아리곰팡이가 해외로 퍼지면서 해당 곰팡이에 대한 면역체계를 갖추지 못한 현지 양서류의 대규모 괴사를 불러왔다는 것이다.공동연구진은 이 연구 결과가 아시아의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선택과 집중을 하기보다는 다양한 연구, 다양한 시도를 용인한 덕분에 벨 연구가 강
점
을 발휘했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한국의 입자물리 연구에도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것이 오히려 독자적인 연구를 주도할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국내 자체 실험도 결과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때문이다. 따라서 FPS 맵은 두 팀이 배치되는 부분이 구조가 똑같을 뿐만 아니라 서로
점
대칭을 이뤄야 한다.그밖에도 레벨디자이너는 유저들이 게임에 로그인, 로그아웃하거나 게임에서 활동할 때마다 남는 흔적인 ‘로그 데이터’를 이용해 게임의 난이도나 승패에 따른 보상 등에서도 밸런스가 잘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특히 공학계열은 외국 연구자들과의 연구 교류가 중요한 만큼 국제형 수업이 큰 장
점
”이라며 “하지만 평소에 영어를 소홀히 하면 수업에 적응하기 힘들 수 있어 영어 기본기를 쌓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포기했다.실패한 내용을 적는 것을 꺼려할 수 있지만, 이씨는 오히려 실패를 통해 배운
점
을 강조했다. 그는 “실제 면접에서도 교수님들이 실패한 연구에 대해 물어봤다”며 “대학에서 공부한 뒤에 다시 도전하면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고,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김 씨는 또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연구원이 함께하는 토크쇼였어요. 강연에 참가한 친구들은 미리 공룡에 관해 궁금한
점
들을 보내왔지요. 첫 질문은 ‘공룡이 멸종한 이유’에 관한 것이었어요. 어린이의 질문을 듣고 이정모 관장님은 장난스러운 웃음을 지으며 답을 하셨지요. “소행성 충돌과 같은 공룡 멸종에 관한 가설은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