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과학동아리 100% 활용하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참여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학생들이 과학동아리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능동적인 참여, 적극적인 자세와 협업입니다. 그래서 선배와 후배가 한 팀이 된 모둠으로 과학실에서 탐구활동을 하며, 최소 연간 2회 이상 모둠을 바꿔 서로 소통하고 협업하도록 돕고 있습니다.이는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한편 4월 14일부터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통해 여러 사람이 4색으로 칠할 수 없는 점의 최소 개수를 찾고 있습니다. 그레이 박사가 만든 그래프를 조금 더 간단한 것으로 계속 바꿔나가면서 계산하고 있는데, 현재 최고 기록은 5월 6일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 소속의 마레인 횔러 박사가 ... ...
- [DJ CHO의 롤링수톤] 흥 부자들이 모이는 통계적 진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하지요. 연구 결과 성격과 음악 취향에는 통계적으로 충분히 의미가 있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유럽, 뉴질랜드, 호주, 북아메리카 지역에 사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라는 건데요, 아시아에 살고 있는 여러분도 잘 맞는지 확인해 보세요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름의 드론들은 LED 빛을 밝히며 하나의 모양을 만들지요. 하지만 여기서 더 놀라운 점은 1218대의 드론을 조종하는 건 단 한 대의 컴퓨터란 사실이에요.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요? 중앙컴퓨터에는 세 가지 프로그램이 있어요. 드론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그램과 각 드론의위치 신호 및 배터리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좁은 우리나라의 지형학적인 특성 상, 육지를 통한 기구의 회수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도 연구를 시작한 뒤에야 알게 됐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거의 2세대 정도 늦게 시작된 국내 과학기구 연구가 다행히 뛰어난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활용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과학기구 연구가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시작한 입자는 초기 운동에너지가 핵자당 500keV(킬로전자볼트·1keV는 1000eV)였다가 종료점에서는 18.5MeV으로 37배가량 커진다. 이들 가속관은 초전도상태에서 동작하기 위해 2~4개씩 짝을 이뤄 54개의 저온유지용기(모듈) 안에 담긴다. 전단부에 위치한 22개의 모듈은 영하 269도(4K·절대온도 4도), ... ...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CrebA’라는 유전자를 과발현시킬 경우 손상된 신경세포를 회복시킬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진의 최종 목표는 퇴행성 뇌질환의 명확한 발병 기작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건강한 뇌를 유지하는 핵심 원리를 찾는 것이다. 신경세포가 기능을 서서히 상실하는 과정이 노화다. 퇴행성 뇌질환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말했다. 염 씨는 “아직 3개월밖에 생활하지 못했지만 연세대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RC(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세대는 모든 신입생들이 1년간 인천 송도에 위치한 국제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며 수업을 듣고 공동체 생활을 하는 RC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RC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의 대화를 정리한 ‘대담’이라는 책을 읽고 거기서 느낀 점을 자기소개서에 썼다. 초등학교 때부터 꿈을 갖고 조금씩 미래를 준비해 온 그에게 가장 힘들었던 시간은 수능 시험 일주일 뒤에 치른 구술고사였다. 그는 “다른 친구들은 수능 시험이 끝나서 마냥 즐겁게 ...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논술도 마찬가지다. 실제 합격자 점수는 2016학년도 평균 60점대에서 2017학년도에는 평균 70점대로 상승했다. 또한 실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2018학년도에도 문제의 난이도가 많이 낮아져서 그 보다 더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쉬워진 논술이라면 해볼 만하지 않겠는가?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