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환초로 둘러싸인 잔잔한 바다가 하늘과 연결된 곳, 미크로네시아 축(chuuk) 주의 웨노섬에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태평양해양과학기지(KSORC)가 있다.적도와 가까운 열대 바다에 자리 잡은 대한민국 해양과학기지에 지난 8월 고등학생과 대학생 6명으로 이뤄진 ‘장영실주니어연구단’이 나타났다. ... ...
- [Career] ‘한국의 젊은 노벨’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발굴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과학경진대회인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의 본선 및 시상식이 8월 23~25일 경기 가평군에 위치한 한화 인재경영원에서 열렸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이번 대회는 한화그룹이 주최하고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후원했 ... ...
- [과학뉴스] 지구 최초의 동물은 빗해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지구상 최초의 동물은 누구일까요?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애니메이션 ‘스폰지밥’의 주인공인 해면동물이 지구상 최초의 동물일 거라고 생각했어요. 우선 해면동물은 5억 년 이상 된 화석이 발견돼요. 게다가 구조가 매우 단순해서 먹이가 적거나 산소가 희박한 지역에서도 살 수 있지요. 그런데 20 ...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우리가 알고 있는 공룡들 가운데에는 무시무시한 육식공룡, 빠르고 날쌔게 달리는 타조 공룡, 그리고 육중한 몸집과 거대한 다리를 자랑하는 용각류 등이 있어요. 그 중에서도 외모만으로 우리의 큰 관심을 끄는 공룡은 뿔공룡이지요. 화려하면서도 독특하게 생긴 뿔공룡의 이야기를 들어 보세요. ... ...
- [과학뉴스] 타조 닮은 공룡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최근 한중일 고생물학자들이 머리에 볏이 달리고 타조를 닮은 공룡의 화석을 발견했다.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와 뤼준창 중국지질과학원 박사, 코바야시 요시스구 일본 홋카이도대 박물관 박사 등 공동연구팀은 중국 장시성에 있는 간저우 지방에서 공룡 뼈화석을 찾았다. 후기 백악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백 투더 문(Back to the Moon)’.조만간 달 탐사 경쟁이 2라운드에 돌입할 전망이다. 전통 우주 강국인 미국과 러시아를 비롯해 중국, 인도, 일본 등 신흥 아시아 우주 강국도 모두 달로 향한다.올해 11월 중국의 ‘창어 5호’가 그 신호탄을 쏘아 올린다. 내년에는 인도, 이후에는 미국과 유럽이 뒤를 이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과학을 좋아했거나 좋은 롤모델을 만나 이공계로 진학하더라도, 여성들은 또 다른 큰 산에 직면하게 된다. 바로 육아와의 ‘전쟁’이다. ‘엄마’가 된 많은 여성 과학기술인들이 지금도 아이를 키우느라 연구 현장을 떠나고 있다. 어떻게 해야 과 ... ...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자성을 띠는 가장 대표적인 광물은 자철석이다. 자석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마그넷(magnet)’도 자철석(magnetite)에서 나왔다. 자철석은 철광석 중에서도 철 함량이 72.4%로 가장 높다. 결정 구조는 완벽한 팔면체이고, 긁으면 검은색 가루가 나온다. 조흔색이 검은색인 셈이다. 덕분에 조흔색이 붉은색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알고 보면 느림보, 티라노사우루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정수남매: 여기는 ‘지구에서 가장 빠른 동물 찾기 대회’가 열리고 있는 현장입니다. 인간 대표 우사인 볼트 선수와 공룡 대표 티라노사우루스 선수를 모셔봤습니다. 티라노사우루스: 여기 근육으로 덮힌 제 몸이 보이시죠? 빠르게 달리려면 자고로 튼튼한 몸과 근육이 필요하다는 사실! 저 가녀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눈으로 볼 수 없다면 수학적으로 우주의 모양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 쓰이는 수학은 위상수학이다. 위상수학은 물체의 모양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성질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다. 쉽게 말해, 구멍의 개수에 따라 물체를 분류한다. 구멍의 개수가 같으면 같은 물체로 본다. 예를 들어, 구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