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 혼자 산다 쌍곡 평면 편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방금 우리가 탄 차가 쌍곡 평면에 접어 들었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 동네는 우리가 사는 동네와 무척 달라. 친구 집 까지 가는 동안 들어 봐.지구는 동그란 구에 가깝고 우리는 구의 표면에 살고 있잖아? 평평한 땅 위에서 직선을 따라 걸을 수 있고, 운동장에 납작한 정삼각형을 크게 그릴 수 있지 ... ...
- [DJ CHO의 롤링수톤] NASA를 꿈꾸던 소녀, 우주를 노래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 편집자 주: 가장 유명한 미국 음악 잡지 ‘롤링스톤’을 표방하는 롤링수(數)톤. 롤링수톤에서는 음악 이야기뿐 아니라 음악 속에 숨겨진 수학 이야기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찍어 음악을 들으며 읽으면 더 재밌을지도~!우주공학자들의 도시에서 태어나 자라온 한 소녀가 있습니다. 과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 수학경시대회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인희를 만난 뒤로 한동안 별다른 일 없이 시간이 흘렀다. 하림은 가능한 말썽을 일으키지 않으려고 조용히 지냈다. 화학선생님을 보면 슬그머니 피했고, 인희도 일부러 본체만체했다. 학교 밖으로 나가면 마고가 따라붙을 게 걱정이 돼 교실과 기숙사만 왔다 갔다 하며 살았다. 처음에는 불안해서 ...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지사탐은 게임과도 같다?“두 달 전부터 포켓몬고를 시작했어요. 현재 25레벨이랍니다.”지사탐의 영원한 대장님인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의 ‘충격 선언’에 어울림홀은 웃음으로 가득 찼어요. 하지만 이 말은 단순히 자랑하기 위한 건 아니었답니다. “여러분은 앞으로 여러 가지 ... ...
- [Info]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가 달라집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1. 새로운 ‘통합과학’, 과학동아 기사로 준비!2018년 고1이 되는 현재의 중3 학생들부터 7개 공통 과목을 배우게 된다는 사실, 알고 계시죠? 문·이과의 구분이 사라지고, 문과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도 ‘통합과학’이나 물리1, 화학1, 생명과학1, 지구과학1 중 한 과목을 필수로 들어야 합니다. 디라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대나 아열대 지방에서 사는 곤충인데, 교통수단과 무역의 발달로 전세계에 퍼졌다. 우리나라에는 약 10종류가 있다. 이 중 산바퀴(Blattella nipponica)와 경도바퀴(Asiablatta kyotensis)는 주로 야외에서 산다. 그래서 집 안에서 발견되더라도 먹이를 찾아 우연히 들어온 것이므로, 번식할까봐 크게 걱정하지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인류가 최초로 로켓을 우주로 날려 보낸 것은 1957년이었다. 그로부터 60년이 지난 현재까지, 우주로켓과 인공위성, 우주탐사선의 추진 기술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기모터와 배터리, 3D프린터, 플라스마, 전자기파 등 우주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기술까지 도입되고 있다.◀ 발사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014년 크리스마스를 며칠 앞둔 어느 날, 노르웨이 남동부, 특히 오슬로 주변의 광활한 하늘에 ‘진주구름’이라고 부르는 기상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당시 필자는 집에 있다가 창문을 통해 갑작스럽게 이 구름을 보게 됐죠. 일몰이 시작되고 약 30분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바로 카메라를 집어 들고 ... ...
- [Career] 노벨상 꿈나무들, 인류의 미래를 연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세종시에 살면서 평소에 금강을 자주 보거든요.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강이 녹조로 가득 뒤덮여 있더라고요. 충격을 받아서 녹조 제거에 관한 논문은 다 찾아봤죠. 그중 석회석을 이용하는 제거 방법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대회에 참가하게 됐습니다.”‘굴 껍질의 성분 변화를 통한 녹조 제거’를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0세기 초만 해도 50세에 불과했던 인류의 수명이 최근 80세 안팎까지 높아진 주요 원인은 무엇일까. 항생제 개발, 정수 기술 발전과 더불어 백신의 사용이 꼽힌다. 감염병에 의한 영·유아 사망률 감소와 인구의 증가에 백신이 절대적으로 이바지해왔음을 수많은 과학적 근거들이 보여주고 있다.백신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