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태양광 기술 몽골 사막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배어 있다. 지붕 꼭대기는 환기를 위해 조금 뚫어 놓는다. 그 사이로 보이는 사막 밤
하늘
의 별이 선명하다. 지붕을 받치고 있는 나무기둥은 82개. 이는 유목민 부족 수를 의미한다고 한다.발전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몇주 동안 주민들과 함께 생활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김홍우 박사, ... ...
페트병 속에 가둔 구름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해주는 응결핵 역할을 한다. 구름도 마찬가지 원리다. 수증기를 머금은 공기 덩어리가
하늘
로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지므로 팽창해 온도가 내려간다. 수증기가 응결해 작은 물방울이 돼 모인 것이 구름이다. 공기 중 작은 먼지나 연기가 응결핵 역할을 한다.뚝딱 실험2 인사하는 페트병■왜 그럴까? ... ...
북쪽
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밤
하늘
의 상태이며 그 다음이 낮은 배율이라고 보면 된다.이달의 밤
하늘
에 어떤 일이? 사라져 가는 사자자리 유성우최근 수년 동안 해마다 11월이 되면 사자자리 유성우로 전국의 관측자들이 흥분에 휩싸였다. 그 시작은 모혜성인 템펠-터털혜성이 지나갔던 1998년이었으며 이후 ... ...
하늘
처녀 옆에 떨어진 밀짚모자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태풍과 잦은 비 탓에 농민들을 시름에 잠기게 했던 수확철이 지나갔다. 요즘에는 수확철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던 허수아비를 보기 힘들어졌다. 벼이삭을 먹으러 오 ... 있는 처녀자리는 현재 밤
하늘
에서 보기 힘들다. 겨우내 하데스와 지내다가 봄철에나 동쪽
하늘
에서 얼굴을 내밀 테니까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발사된 전파를 인공위성이 수신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를 수집한다 3~ 4월에 남쪽
하늘
에 보이는 별자리 그리스 신화의 이아손과 함께「황금 양털」을 얻기 위해 떠난 원정대(遠征隊)를 나른 거선「아르고(Argo)」에 연우하는 이름이다 저항(R)과 콘덴서(C)를 사용해서 출력전압의 일부 입력 쪽에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비행선 가운데 가장 성공적인 모델은 독일의 `LZ-129 힌덴부르크(Hindenburg)였다. 지금까지
하늘
을 날았던 비행체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이 비행선은 한편에서는 상업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뒀다. 힌덴부르크는 1928년 첫운항을 시작한 이래 10여년 동안 대서양 횡단을 비롯해 세계 곳곳을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오리온자리는 자정을 넘어가면 동쪽
하늘
에서 모습을 보이기 시작해 새벽이 되면 남쪽
하늘
높이 위치한다. 오리온자리가 떠오를수록 점점 더 많은 유성이 보이게 될 것이다 ... ...
최첨단 비행체 시뮬레이션이 탄생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실험할 수 있는 비행 조건도 다양하지 못해 변화무쌍한 실제
하늘
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KAIST 기계공학과(항공우주공학전공) 권오준 교수의 전산공력시스템연구실은 이런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방법으로 가장 이상적인 비행체의 구조를 찾고 있다. 바로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그림 4). 이처럼 망원경 각도에 대한 제한이 있기 때문에 SIRTF는
하늘
모든 영역을 관측할 수 없고 시기에 따라 가능한 관측영역이 달라진다.기존 망원경보다 1백배 선명SIRTF에는 3가지 관측 기기들이 실려 있다. 적외선 카메라(IRAC, InfraRed Array Camera), 적외선 분광 관측기(IRS, .. ...
화성이 핏빛으로 물든 사연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화성의 모습에서 받을 수 있는 강한 첫인상은 바로 붉은빛에서 나온다. 그래서 밤
하늘
에 보이는 화성도 마치 불타오르는 것처럼 붉은빛을 내뿜는다. 6만년 전 크로마뇽인이 화성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면 강렬한 붉은빛을 두려워했을지도 모른다. 신화 속의 화성은 무자비한 살육을 즐기는 전쟁의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