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울리는 진동음. 우리 인공위성을 우주에 쏘아올리는 우리 우주발사체(KSLV-I)가 마침내
하늘
로 솟구친다. 지구 대기를 뚫고 인공위성이 지구 주위를 도는 궤도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속도는 대략 초속 10km다. 이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시속 3백km로 달리는 초고속열차의 1만4천배에 해당하는 에너지가 ... ...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작품 제목이기도 합니다. 별이 빛나는 밤은 전경에 키 큰 나무와 작은 마을이 있고 밤
하늘
에 별이 소용돌이치는 듯한 정경을 대담한 구성과 터치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고흐의 작품에는 유달리 별과 달, 해가 자주 등장한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고흐의 작품은 미술 애호가뿐만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대부분의 경우 일반인들은 이런 암시를 대수롭지 않은 사고로 간주한다. 아마겟돈처럼
하늘
에서 떨어지는 돌덩이들로 도시의 빌딩을 박살내버리는 강력한 첫인상으로 암시를 대신하는 재난영화도 있다.두번째는 예언자의 등장과 갈등이다. 단테스 피크의 화산학자 해리는 화산 폭발로 애인을 잃은 ... ...
우주에 거대한 바다 넘실대는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황은 빨간빛으로 나타난다.검붉은 파도를 품고 있는 궁수자리는 여름철 초저녁 남쪽
하늘
에 눈에 띈다. 케이론이 활을 당기는 모습을 하고 있는 궁수자리를 바라보면서, 황금 양가죽을 찾아 떠났던 케이론의 제자들과 새로운 별을 잉태시키는 가스의 바다를 떠올려보면 어떨까. 궁수자리는 은하수의 ... ...
북반구
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더 크게 보인다.보기 드문 대접근 현상의 주인공 화성이 한밤중이면 이제 서서히 동쪽
하늘
에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화성은 현재 염소자리와 물병자리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점차 동쪽으로 자리를 옮겨가고 있다. 지난 5월 14일 화성은 해왕성에서 불과 2° 가량(1°는 보름달 지름의 두배에 해당)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없을까 라는 고민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한다. 그래서 고안해낸 연구가 광역 탐사다. 전
하늘
을 관측하면서 빛이 변하는 현상이나 움직이는 천체를 찾자는 것이다. 삼국시대 이래 선조들이 혜성, 신성 등의 천변현상을 관측해 왔는데, 이런 전통을 현대적으로 구현한 시도라 평가할 만하다.그렇다면 ... ...
자연의 빈자리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짧은 시간만에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한때는 수억마리씩 무리를 지어 날아다녀 ‘
하늘
을 덮어 어둠을 만든다’고 했던 동물이다.‘자연의 빈자리’는 도도나 여행비둘기처럼 지난 5백년 동안 지구에서 자취를 감춘 동물들의 모습을 복원하고 그들의 존재를 기록한 책이다. 때로는 편지 속의 간단한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개의 4등성과 1개의 5등성이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에서 볼 수 있다9월 하순 저녁 8시경에 남중한다삼방정계(三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고회석(苦灰石) · 백운석(白雲石)이라고도 한다 탄산석회와 탄산마그네슘이 1대 1로 복탄산염을 이룬다결정은 능면체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1953년 5월 29일. 에드먼드 힐러리와 셰르파 텐징 노르기는 인류 최초로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에 올랐다. 올해가 에베레스트 최초 등반 50주년이다. 이를 기념해 한국, 인도, 네팔 탐험대가 세계에서 네번째로 높은 로체 등정에 성공했고, 곧 에베레스트 등정을 시도할 예정이라고 한다.에베레스트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새가 날아들어 오랫동안 머문다면 어떻게 될까. 사람이라면 그런 일을 안하겠지만
하늘
을 나는 새에게 경계가 있을 리 없다. 이 점을 알아보고자 큰어치(blue jay)라는 새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이 이뤄졌다. 이 연구결과에 따르면 주위 온도가 높을 때는 새가 약간의 스트레스를 받지만, 주위 온도가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