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뉴스
"
인체
"(으)로 총 2,691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복합체를 이룬 뒤 다시 세포핵 안으로 들어와 게놈에 끼어들어간다(아래 빨간색). 숙주인
인체
는 게놈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전이를 억제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지니고 있지만 여전히 100세대에 한 개 꼴로 생식세포에서 전이가 이뤄지고 있다. 체세포의 경우는 노화에 따라 더 빈번하게 L1 전이가 ...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
2015.01.12
물질인 키토산으로 대체한 데 의미가 있다”며 “전극 등 메모리 소자의 다른 부분도
인체
에 적합한 소재로 대체하는 연구를 앞으로 진행해 최종적으로 먹어도 될 만큼 안전한 메모리 소자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2014년 12월 16일자에 실렸다. ... ...
난치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가능해졌다
2015.01.11
억제하는 신약 후보물질을 찾아냈다고 11일 밝혔다. 자가면역반응이란
인체
면역기능이 외부 침입물질이 아닌 자기 세포를 공격하는 이상 현상이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면역세포들이 관절 조직을 공격해서 생기는 류마티스 관절염, 뇌나 척수 같은 중추신경계를 공격하는 다발성 경화증 등이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인공 눈 시스템의 원리 - 동아일보 제공 몸이 천 냥이면 눈은 구백 냥. 사람은
인체
감각 기관 중 눈에서 받는 정보를 가장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귀가 잘 안 들리거나 촉각이 다소 둔감해도 어느 정도 일상생활을 해 나갈 수 있지만 당장 눈이 불편하면 큰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사람의 눈은 ... ...
조울증, 결국 뇌세포가 원인이었어!
2015.01.06
치료제로 쓰이는 리튬을 대신할 물질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리튬이
인체
에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웨미 교수는 “리튬이 소뇌의 뇌세포 대사활동에 도움을 줘서 조울증 환자의 증상을 안정시키는 것으로 밝혀지면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물질을 찾아낼 수 있을 ... ...
초콜릿 먹으며 스트레스 풀어… 糖중독이네요
동아일보
l
2014.12.29
혈당을 쉽게 올린다. 식사 대신 먹었던 과자, 초콜릿 등이 이에 해당된다. 단순당이
인체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검사를 했다. 우선 백 교수는 기자에게 한 번에 섭취할 수 있는 초콜릿의 최대량을 먹게 한 뒤 30분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해 혈당과 혈액 속에 당을 줄이는 호르몬인 인슐린양을 ... ...
[신나는 공부]“동아리 활동, 교실 밖으로 행진하라”
동아일보
l
2014.12.23
생명자원식품공학과에 합격한 이수정 씨(20). 고2 방학 동안 ‘인공감미료가
인체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쥐 30마리에게 서로 다른 인공감미료를 섞은 사료를 준 뒤 식사량, 몸무게 변화 등을 방학 동안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행동 변화를 관찰했다. 처음부터 ‘RNA 구조 분석’ ‘입자가속기를 ... ...
올해의 바이오뉴스 키워드는 에볼라-기초연구비-나고야의정서
2014.12.21
Top5 △ RNA 유전자가위 활용 발암유전자 분석법 개발 - 김진수 (서울대) △ 약물의
인체
내 표적 규명 기술 개발 - 박승범 (서울대) △ 초고속·저비용·대량으로 약물 검색이 가능한 바이오 분석칩 개발 - 권성훈 (서울대) △ 혈액 속 암 세포 검출·분리 기술 개발 - 조영남 (국립암센터) △ 자궁경부전암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머티리얼스’ 7월호 표지논문으로도 발표했다. 경 센터장은 “현재 스마트폰의 액정은
인체
의 미세한 전류를 감지하는 정전기식 방식이어서 피부의 접촉 여부를 인식하는 게 전부”라면서 “투명 촉각센서는 누르는 힘까지 감지할 수 있어 이 센서로 액정을 만들면 펜으로 화면에 그림을 그릴 때 ... ...
뼈 붙인 뒤 재생까지 돕는 ‘홍합 단백질 접착제’
2014.12.18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진은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인체
에 무해한 접착제를 만들고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두개골에 구멍을 낸 뒤 뼈 형성을 돕는 이식재를 넣고 접착제로 고정한 결과 이식재만 넣은 쥐에서보다 뼈 재생이 1.5배 활성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