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뉴스
"
인체
"(으)로 총 2,693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머티리얼스’ 7월호 표지논문으로도 발표했다. 경 센터장은 “현재 스마트폰의 액정은
인체
의 미세한 전류를 감지하는 정전기식 방식이어서 피부의 접촉 여부를 인식하는 게 전부”라면서 “투명 촉각센서는 누르는 힘까지 감지할 수 있어 이 센서로 액정을 만들면 펜으로 화면에 그림을 그릴 때 ... ...
뼈 붙인 뒤 재생까지 돕는 ‘홍합 단백질 접착제’
2014.12.18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진은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인체
에 무해한 접착제를 만들고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두개골에 구멍을 낸 뒤 뼈 형성을 돕는 이식재를 넣고 접착제로 고정한 결과 이식재만 넣은 쥐에서보다 뼈 재생이 1.5배 활성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 ...
로봇치료·3D프린트·암新藥… 대학병원, 미래를 연다
동아일보
l
2014.12.17
수술, 양악 수술 전에 모의 수술에 이용됐다. 최근에는 3D 프린트 기술로 만든 인공기관을
인체
안에 집어넣는 프로젝트도 진행됐다. 포스텍 조동우 기계공학과 교수와 서울성모병원의 이종원 성형외과 교수, 김성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태어날 때부터 코와 콧구멍이 없었던 몽골 소년 네르구이 ... ...
100만 분의 1초 존재했다 사라지는 화합물의 결정구조 밝혔다
2014.12.16
반응성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철(Ⅲ)-수퍼옥소는 수퍼옥소가 철 분자와 결합한 것이다.
인체
에서 세포를 공격하는 유해물로 알려진 활성산소가 생길 때는 물론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그리고 공장에서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과정 등 다양한 화학반응에서 철(Ⅲ)-수퍼옥소가 발생한다. 하지만 ... ...
매일 타우린 30mg 먹었더니 치매가…
2014.12.14
양도 줄어들어 신경교세포가 활성화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김 연구원은 “
인체
에 무해한 타우린의 화학구조를 변형해 약효가 증진된 신물질을 만들 것”이라며 “타우린이 초기 알츠하이머병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중증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실험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
100억 원 지원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신규 과제 선정
2014.12.10
일상 생활에 불편함이 없는 인공피부 센서를 구현해
인체
피부로 드러나는 다양한
인체
정보 미세체열 변화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피부질환, 통증 아토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예정이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하나로 스마트폰 기반으로 여드름 ... ...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있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하는 정상균총(Normal flora)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또 그 동안 연구되지 못한 자연계와
인체
미생물에 대한 최신 연구 기법을 강연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덕의초등학교 김장환 교사가 ‘금과터 골든벨 2’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12월 1 ... ...
농업은 내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14.12.09
꺼낼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한 여성이 있다. 이 여성은 봉독이 가진 독성분을 줄이고
인체
에 딱 맞는 약으로 쓸 수 있는 봉독정제법도 만들었다. 민간요법을 산업화하고 수출까지 성공한 국립농업과학원 한상미 농업연구사가 그 주인공이다. 봉독 등 다양한 양봉산물의 성분 및 기능성 연구를 위한 ... ...
특허 끝난 항암제로 당뇨성 망막부종 치료제 개발
2014.12.08
치료 효능을 확인했다. 서 교수는 “이 물질은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만큼
인체
에서의 치료 효능만 확인한다면 신약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
2014.12.03
주파수를 분리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들을 수 있는 대부분의 소리를 재현해냈다.
인체
에 적합한 티타늄 소재를 사용해 체내 이식도 가능하다. 허 연구원은 “국내 난청 환자는 인구 1000명당 4.4명이나 된다”며 “이번에 개발한 기능은 체내이식형 인공와우는 물론 수중 음향센서, 특수용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