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키장에서 활약한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지난
겨울
유럽의 스키장에서는 한 박테리아가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삼년간 계속 눈이 제대로 내리지 않아 울상을 지었던 유럽의 스키장업주들의 미소를 되찾아 주었다. 미국의 스노맥스사가 '슈도모나스 시린게'(Pseudomonas syringae)라는 자연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박테리아를 활용해 인조눈을 만든 ... ...
이공계 대학원생들
겨울
캠프 개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1백여명이 모여 '열리는 90년대를 청년과학도의 어우러짐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겨울
캠프를 가졌다.전국 대학원학생 대표자협의회후원으로 열린 이번 캠프에서는 '과학기술자들의 삶과 자세' '과학기술의 올바른 모습' '민족과학기술운동'등을 주제로 강연과 토론을 가졌고 사례발표로는 ... ...
산성눈이 주는 피해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백색의 공포'가 쏟아지는 셈이다.간접 피해 더 심각산성눈의 주범은 말할 것도 없이
겨울
철 난방과 자동차 매연의 증가로 인한 대기중의 아황산가스 증가, 아황산가스는 공기중에서 산화되어 눈과 함께 섞여서 내리게 된다. 서울의 연평균 아황산가스 오염도는 지난해 0.057ppm으로 장기환경기준치인 ... ...
겨울
밤 별자리 관찰 여행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꿈이 깃든
겨울
밤 별자리 여행이 강원도 낙산에서 2월17일부터 18일까지 1박2일로 개최된다. 도서 출판 김영사가 주최하고 전국대학생아마추어천문회가 후원하는 이번 행사는 직접 별자리를 관찰하는 것은 물론 '별과 우주' '별자리의 유래'등 강의와 노래 오락등 다양한 별밤행사가 곁들여진다.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한 폭의 그림같은 마을들이 한가로이 누워 있다. 이 곳의 기후는 12월에서 2월 중순까지의
겨울
철이 지나면 금세 혹서의 계절이 된다. 보통 45℃를 오르내리는 지독한 더위가 시작되는 것이다.물탄에서 차로 3시간 40분을 달려 하라파에 닿았다. 물탄~라흐르 간의 대로에서 10여분 거리에 있는 ... ...
한국 중부의 터줏대감 황새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크다. 또 목이 검고 정수리에 빨간 살갖이 드러나 있는 점도 다르다. 그리고 두루미는
겨울
새이면서 동시에 지상성(地上性) 조류다. 반면 황새는 나무위에 앉고 둥우리도 지상에서 5~20m 의 높은 나무 위에 트는 것이 커다란 차이점이다.얕은 물에 서서 물고기나 개구리를 엿보다가 용수철처럼 목을 ... ...
기상이변,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될 수 없고 또 동시에 저온이 될 수도 없다.전세계에서는 대기의 대규모 순환과 관련,
겨울
뿐만 아니라 여름에도 이상저온과 이상고온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 이상다우 이상과우현상과 관련된 홍수와 한발이 도처에서 보도되고 있다.이러한 기상이상현상은 우리의 사회·경제 생활에 크게 영향을 ... ...
공부하는 방법이 문제예요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자율학습을 하면서 재충전을 받았어요. 일단 열심히 해야겠다고 마음을 굳히고 2학년말
겨울
방학 때는 정말이지 정신없이 공부했어요. 이때 실력이 많이 늘었어요. 학교도서관에서 아침 8시부터 저녁 6시까지 공부하고, 또 집에 와서 밤 12시까지 복습하고…그랬더니 효과가 금방 나타났어요. 고 ... ...
겨울
이 두렵지 않은 북극땅다람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 방면에서 종전챔피언이었던 마못류(woodchuck)도 빙점보다 조금 높은(1℃ 정도) 체온으로
겨울
을 보냈다.저온생물학자들은 1950년대부터 빙점 이하의 체온과 생존과의 관계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주로 냉동시킨 쥐와 햄스터를 사용, 실험을 했는데, 실험동물들은 체온이 빙점 이하로 내려가자 ... ...
핵가을모델에 반론 제기돼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것이다. 또 지속기간도 수개월이 아니라 수주일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결국 핵
겨울
이 핵가을로 완화된 셈이다.그런데 최근 이 '핵가을' 모델에 의의를 제기하고 나선 학자가 등장했다. 미국 브리스톨대학의 이론물리학자인 '제니 넬슨'은 핵폭발 후 발생하는 연기의 모양이 잘못 선정되었다고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