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생명의 으뜸원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것이다.자유자재로 떼었다 붙였다생명 현상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생체 고
분자
를 든다면 DNA와 단백질을 빼어 놓을 수 없다. DNA는 염기 서열을 통해 온몸의 유전 정보를 저장하고, 이 정보는 필요에 따라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로 번역돼 다양한 단백질의 기능을 가능하게 해준다.DNA의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있다.물로부터 수소를 얻기 위해서는 2개의 수소원자와 1개의 산소원자로 구성돼 있는 물
분자
로부터 수소와 산소를 분리해야 한다. 전기분해를 이용하면 물 36g에서 수소 4g을 얻을 수 있다. 전기분해는 이론상 1.23V(볼트)의 전압이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장치의 내부저항 등으로 이보다 높은 전압이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평판 디스플레이의 대표 주자가 액정화면(LCD)이다(그림3).액정은 전기를 걸어주면
분자
들의 배열이 바뀌어서 입사된 빛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성질이 있다. 때문에 편광판을 사용해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걸러내고 이 빛의 방향을 액정으로 바꾸어 다른 한쪽의 편광판으로 보내주면 빛의 ... ...
밤하늘의 수채화 성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가장 잘 알려진 암흑성운으로는 오리온자리의 말머리성운이 있다. 말머리성운은 진한
분자
구름 덩어리로 뒤쪽으로 둘러쳐진 붉은 색의 발광성운 IC432의 빛을 가로막고 있다. 말머리 성운은 바나드33으로 불려지기도 하는데, 바나드(E. E. Barnard)는 19세기 후반의 미국의 천체관측자로 암흑 성운의 ... ...
19세기의 유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스타는 1천3백여개의 특허를 냈던 발명왕 에디슨(1847-1931)이었다.19세기 물리학은 원자나
분자
단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거의 설명할 수 있었기 때문에 물리학자들은 상당히 자신감에 차 있었다. 그런데 해결하지 않은 숙제가 하나 있었다. 그토록 많이 이용하고 있는 전기의 본질을 알지 못했던 ... ...
탄소로 만들어진 꿈의 신소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성공했을 뿐이다. 이에 비해 박교수팀이 개발한 것은 금속 원자 3개가 각각 풀러렌
분자
의 탄소 원자 2개와 연결된 화합물이었다. 단단하게 결합된 탓에 화학반응을 일으켜도 좀처럼 깨지지 않는 안정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박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조만간 국제적인 화학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때 팬에 스며들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테플론의 긴 사슬이 서로 조밀하게 엉겨서 다른
분자
들이 스며들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팬에 테플론 코팅을 할까. 방법은 팬의 표면을 아주 거칠게 해서 테플론을 달라 붙게 만드는 것이다. 코팅 프라이팬을 선전하는 많은 프라이팬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뇌 연구에 따르면 뇌 내부에서 신경세포간에 서로 연락을 취하는데 관여 하는 몇가지
분자
들이 수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혀졌다. 최근에는 수면유도체 물질이 신체 면역계에서 만들어진다는 점이 밝혀졌다. 하지만 몸의 피로 물질과 수면유도체가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사람을 졸리게 ... ...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여겨졌던
분자
포획의 문을 연 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라며 "미래에는 DNA같은 생체
분자
도 자기장을 이용해 손상시키지 않고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견했다.그러면서 자기장을 이용해 진공상태의 원자를 포획하는 현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레비트론 이라는 장난감을 보여줬다. 자석이 ... ...
3. 생명현상 조절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음성을 띠고 바깥쪽은 양성을 띤다. 왜냐하면 신경막 안쪽에는 음이온을 띠는 유기물
분자
가 많기 때문이다. 이 현상을 분극됐다고 하며, 이 때의 전위를 휴지전위라고 부른다. 신경세포나 근육세포와 같은 흥분성 세포에서는 전위차가 보통 60-90 mV(mV:1천분의 1볼트) 정도로 측정된다. 신경세포들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